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이 많아져 누구나 어깨통증을 겪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보통 노화가 진행된 어르신들을 포함해 나이가 어린사람들 마저 어깨통증 때문에 생활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런 어깨통증을 경험하는 많은 환자들은 별 큰일 아니겠지라고 생각하고 가볍게 파스로 끝내지만 어떤 경우는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더 심해질 수 있다. 그래서 결국 병원을 찾는 사람이 많은데 많은 사람들은 어깨통증에 대해 보통 오십견이나 회전근개파열로 알고 있다. '어깨통증'하면 떠오르는 '오십견'은 대부분 연령대가 좀 있는 50대 전후로 나타난다고 알려진 이름으로 원래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이 오십겹은 대부분 이유를 알지 못하는 어깨운동 장애와 어깨 부위에 심한 통증을 일으키고, 어깨 관절의 움직임도 방해를 받아 그냥 생활하는 것 조차 버거울 수 있다. 바록 오십견이라 불리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에게도 나타나고 있어서 신경써야한다. 그러나 이런 증상이 나타나도 안일하게 여기고 낫겠지라는 생각을 그릇된 인식으로 그냥 두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이대로 놔두면 일상에서 생활하는 것이 어려워지며 잘못하면 만성으로 번질 수 있어 치료는 물론 예방도 중요하다. 또 대부분 오십견이라고 오해할 수 있는 '회전근개 파열'일 수도 있는데 이 질환은 오십견과 달리 운동을 올바르지 못하게 하다가 발병 할 수 있어 반드시 의사와 상담을 통해 오십견인지 회전근개 파열인지 알아야 한다. 이에따라 우리를 괴롭히는 어깨통증의 원인과 치료법을 알아보자.
오십견의 정의
어깨통증의 대표적 질환인 오십견은 어깨관절이 통증과 어깨 관절의 운동신경을 억제시키는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질병으로 딱히 별 다른 이유 없이 오십 세 후 어깨의 통증과 함께 어깨의 운동 신경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이라서 보통 오십견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학적으로는 '동결견'이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보통 '오십견'으로 알려져있다. 오십견이라고 하여 오십 세가 꼭 넘어야 생기는 것은 아니고, 어리거나 아니면 아예 50대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사람들이 오십견에 시달리는 이유는 눈에 띄는 이유가 없는 특발성 동결견과 이차성 동결견으로 나누곤 한다. 우선 특발성 동결견은 특별한 원인이 없으면서 극심한 어깨통증과 능동 및 수동 관절 운동이 제한되는 질환이고, 이유가 존재하는 이차성 동결견은 갑상선 질환, 경추 질환, 당뇨병, 흉곽 내 질환, 외상 등의 이유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여러가지로 나타나는 오십견의 증상은 극심한 어깨의 통증과 더불어, 야간 통증 및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 제한을 보이는데, 이런 증상들을 보인다면 미루지 말고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젊은층에서도 발견되는 어깨통증인 '회전근개 파열'이란?
'어깨통증' 하면 대부분 50세 정도에 걸린다는 '오십견'이란 편견 때문에 3040세대, 심지어 1020세대의 젊은층은 어깨통증을 별 큰일 아니겠지라고 생각하고 넘기기 일쑤다. 하지만 운동 후에 발생한 통증이든, 나이가 들어 생긴 통증이든 어깨에 통증이 생겼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한다. 운동 후 통증은 단순히 근육통이라 생각하거나, 50대 이상에서는 오십견으로 생각해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라고 인식하기 쉽다. 하지만 지속되는 어깨통증이라면 '회전근개 파열'을 의심해봐야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지 않는 질환이다. 통증이 심하면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하다. 회전근개파열은 어깨를 움직이는데 도움을 주는 근이 파열되는 질환으로 방치할 경우 근육이 점차 말라가기 때문에 치료가 너무 늦어지면 수술로 근을 봉합한다 하더라도 어깨 기능이 일부 회복되지 못하고 운동장애가 남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깨통증의 예방과 치료는?
어깨의 통증이 있으면 많은이들은 약이나 파스로 해결한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우선 통증이 심할 때는 더운찜질로 통증을 없앨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극심해 참을 수 없는 정도라면 더운 찜질보다는 차가운 찜질이 낫다. 또 평소 생활 할 때 늘 바른자세를 염두해 두는 것이 그리고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도 중요하다. 그것은 생활화 된 스트레칭이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일상생활 시 바른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 그리고 운동하기 전, 후에 반드시 스트레칭을 실시하자. 평상시에도 기지개를 자주 켜는 행위 등 스트레칭을 하고, 어깨운동을 열심히 해 어깨를 단련시키자.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