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점진적 회복 가능하지만 외교적 변수 여전
해법, 기술만으론 부족...외교가 실적 좌우하는 시대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국내 전자산업의 쌍두마차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올 2분기 나란히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내며,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과 복잡한 국제 역학관계에서 비롯된 업황 둔화라는 직격탄을 맞았다. 반도체부터 생활가전에 이르기까지 주요 사업 부문이 일회성 비용, 미중 무역 충돌, 미국발 관세 부담이라는 '이중 압박'에 동시에 흔들렸다는 분석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4조6000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5.9% 급감했다. 시장 기대치인 6조1833억원을 크게 밑돌았고, 매출 역시 74조원으로 사실상 전년 수준(-0.1%)에 머물렀다.
![]() |
삼성전자·LG전자가 트럼프발 관세폭탄을 제대로 맞았다. [사진=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
문제는 반도체였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급증했지만, 삼성전자는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HBM3E(12단) 공급 지연으로 대응에 실패했다. 여기에 메모리 재고 평가손실과 비메모리 수출 제한 여파가 겹치며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손실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미국의 대중(對中) 첨단 반도체 수출 규제도 뼈아팠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한 관련 조치가 현실화되면서, 파운드리와 시스템 반도체 수출에 타격이 본격화된 것이다. 중국 내 고성능 칩 수요 감소와 기술 장비 수출 제한이 겹치며, 삼성전자의 비메모리 경쟁력 확보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LG전자 역시 2분기 매출 20조7400억원, 영업이익 6391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4%, 46.6% 감소하며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MS사업본부의 수요 위축, LCD 가격 상승, 마케팅 비용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대미 보편관세와 물류비 부담이 수익성을 압박했다.
생활가전 사업은 미국 통상정책 변화와 중동 리스크로 수요가 다소 줄었으나,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지배력과 볼륨존 실적 개선은 상대적 선방으로 평가된다.
양사는 하반기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HBM 고객군 확대와 비메모리 수요 회복에 기대를 걸고 있으며, LG전자는 전장(Business Solution), B2B, 구독형 서비스, 웹OS 콘텐츠 강화 등 신사업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그러나 미국발 추가 압박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변수다. 지난 4월 미국은 국가별 상호관세 제도를 발표하며 대부분 국가의 수입 제품에 10% 기본 관세를 적용했고, 오는 8월부터는 한국산 제품에 최대 25%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북미 시장 의존도가 높은 삼성전자·LG전자의 스마트폰·가전 부문은 해당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수익성 방어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호관세는 기존 환율·물류비 리스크에 더해 수익성 전반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자산업의 위기는 이제 기술력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실리 중심의 국제정치가 기업의 실적을 좌우하는 시대, 그 패러다임 전환의 한복판에 놓여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전자업계는 지금, 기술보다 외교가 실적을 좌우하는 시대에 놓여 있다”며 “2025년 하반기는 이 위기를 견디는 ‘적응력’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