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봄부터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하루가 시작되면 맨 처음 미세먼지수치를 확인하는 사람이 많다. 미세먼지는 기관지 및 호흡기에 영향을 줘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돼 나들이를 나갈 땐 마스크 착용 후 외출해야 한다. 주의할 것은 미세먼지 마스크가 아니라면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기관지를 통해 우리 몸 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제대로 거르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 이 때문에 미세먼지마스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단, 구매 전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미세먼지마스크가 효과있는 원리와 미세먼지마스크 제대로 고르는 법에 대해 짚어본 후 미세먼지마스크를 착용하는 정확한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미세먼지마스크 원리, 필터 차이 존재해
황사와 미세먼지는 비슷한 시기에 나타나긴 하지만 같은 것이라 볼 수 있다. 황사의 입자크기는 미세먼지의 입자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황사마스크로 미세먼지를 막을 순 없다. 때문에 미세먼지 수치가 심한 날에는 미세먼지 전용 마스크를 써야 한다. 미세먼지와 일반마스크의 차이는 섬유조직부터 있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섬유가 배치돼있는 일반마스크와 다르게 미세먼지용 마스크는 섬유들이 작은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도록 틈이 거의 없게 무작위로 얽혀져 있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마스크는 미세먼지를 거르는 필터와 정전기 필터로 구성돼 있어 촘촘한 섬유조직의 필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호흡곤란을 방지한다. 미세먼지마스크의 효과를 높이려면 올바른 착용법을 지켜야 하는데, 코와 입, 턱 부분을 빠지지 않고 마스크로 덮어줘야 한다. 마스크를 착용할 때 코 부분에 밀착되지 않으면 그 공간으로 걸러지지 않은 미세먼지가 그대로 들어가 의미가 없게 된다. 때문에 마스크의 끈을 통해 빈틈없이 고정해야 한다. 마스크를 쓴 후 입으로 인위적으로 바람을 불어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미세먼지마스크 고르는 법
미세먼지마스크를 선택할 때엔 식약처에서 인증한 KF수치를 체크해야 한다. KF수치가 있는 것은 식약처 인증 하에 그 기능을 인정받았다는 것으르 말한다. KF수치는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의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높은 숫자일수록 미세한 입자까지 차단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미세먼지 필터링의 경우 최소 KF80의 미세먼지 마스크를 구매해야 한다. 하지만 KF수치가 높아질수록 더 세세하게 얽힌 필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숨쉬는 것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무조건 높은 수치의 미세먼지 마스크를 구매하는 것은 고려하는 것이 좋다.
미세먼지마스크, 세척해도 될까?
미세먼지마스크는 일반마스크보다 비싸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쓰기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 아쉽게도 미세먼지 마스크의 재사용은 좋지 않다. 한 번 사용한 미세먼지 마스크는 오염이 잘 될 수 있으며 필터가 제기능을 하기 못하게 된다. 다시 사용할 경우 미세먼지를 원래처럼 거르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빨 경우 필터의 본기능을 잃어 효과가 없다. 이에 미세먼지마스크는 한번만 사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