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의 사람들이 쓰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분실하는 사람도 많다. 스마트폰을 잃어버리면 단말기 구입, 위약금을 물게 되는 등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출시돼 판매되고 있는 갤럭시 S10이나 아이폰 XS, LG V50 등의 휴대폰들은 가격이 100만 원 이상으로 비싼 가격의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더하여 금전적 문제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사진과 영상 등의 데이터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더 큰 피해가 생기기도 한다. 이처럼 스마트폰을 분실 했을 때 제대로 대처하면 분실한 스마트폰을 찾기 쉬워진다. 찾는 방법에 대해 꼼꼼히 알아보자.
분실한 스마트폰 신고방법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때 가장 먼저 핸드폰 분실신고를 해야 한다. 휴대폰 소액결제 등의 2차 피해를 미리 예방해야 하기 때문이다. 분실신고 방법은 자신이 가입한 통신사의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더불어, 온라인을 통해서도 신고할 수 있다. 핸드폰을 잃어버렸을 때 분실확인증을 발급 받는 것도 중요하다. 분실확인증은 잃어버린 핸드폰을 습득한 사람의 정보를 알기위해 필요하다. 보통 가까운 경찰서 및 지구대, 경찰청 유실물 종합센터 에서 발급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해두면 좋다.
잃어버린 스마트폰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휴대폰 위치추적 서비스를 이용하면 잃어버린 스마트폰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갤럭시 S10 등의 갤럭시 시리즈와 LG G8, V50 등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쓰는 휴대폰은 Android 기기관리자에 접속한 뒤 스마폰과 연동해 둔 구글 계정을 입력하면 스마트폰의 위치추적이 가능하다. 단,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GPS 설정이 켜져 있어야 한다.
이와 다르게,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면 '나의 아이폰 찾기'를 통해 핸드폰의 위치를 간단하게 추적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폰의 도난이 의심된다면 데이터 초기화와 화면 잠금 등의 기능 역시 활용 가능하니 참고하자.
택시·지하철·버스에 두고 내린 핸드폰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핸드폰을 잊어버리는 보편적인 곳은 지하철이나 택시, 버스 등의 대중교통이다. 지하철을 이용하다가 스마트폰을 잊어버렸다면 서울교통공사와 코레일의 유실물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서울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때는 서울시에서 운영중인 대중교통 통합분실물센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도 있다.
버스를 이용하다가 스마트폰을 분실 했다면 탔던 버스의 차고지에 연락하거나 방문해서 분실한 스마트폰이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탑승했던 버스가 운행중일 경우에는 탑승 시간과 하차시간 등을 고려해서 버스 기사의 연락처를 얻어서 연락해서 스마트폰을 찾아볼 수도 있다.
택시에서 스마트폰을 잃어버렸다면 요금 결제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폰을 찾아볼 수 있다.
신용카드로 요금을 계산했다면 영수증으로 택시기사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티머니로 요금을 냈다면 티머니 센터로 전화해 타고 내린 택시와 운전자 기사의 연락처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현금으로 택시비를 계산해서 택시 정보를 알 수 없다면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홈페이지에서 잃어버린 스마트폰 습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