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리를 구하는 상태거나 근로자가 된 경우에도 현재 하고 있는 업무나 자신의 능력을 키우고 싶을 때가 있다. 이로 인해 업무의 기술 습득을 위해 학원을 다니게 된다. 그러나 학원에 등록할 경우 돈을 따로 내면서 다녀야 한다. 이에 국가가 금전적인 지원을 해주는 정책들이 조명을 받는 추세다. 내일배움카드 같은 경우 인터넷 강의로 들을 수 있어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배우는 과목 추천 리스트를 알아보자.
한국어교원 뜻은?
한국어교원 의미는 한국어를 잘 못하는 △다문화가정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쳐주는 선생님이다. 한국어교원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장소에 따라 한국어교원과 한국어강사, 한국어교육지도사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교원이 되고 싶다면 어떤 직업이든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임용고시는 따로 존재하지 않고 중등교사 및 고등교사와 다르다. 한국어교원은 대학교에 있는 어학원과 평생교육원과 같은 기관에서 한국어를 알려주고 다른 나라에 있는 기관이나 그 나라에 있는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칠수도 있다.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기관에 취직할 수 있다. 청소년시설과 같은 특수 시설에 취직할 수 있고 병원이나 학교같은 곳에서도 일할 수 있다. 20~30대 사회복지사는 9급공무원 위주로 취업을 하며 4050같은 경우 △여성 △가정 △상담시설 등 다양한 복지 시설에서 일한다. 사회복지사가 요구하는 나이대는 다양해서 많은 3050 나이대의 사람들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공부하고 있다.
직업상담사자격증 취득 후 취직하는 곳
직업상담사는 고령화시대가 되면서 자격증도 등장했다. '평생직장'의 개념에서 '평생직업'이 더 중요해지면서 취업 문제가 현대사회의 숙제로 떠올라서다. 따라서 직업상담사의 위치가 중요하게 변했다. 직업상담사는 구인구직과 취업에 관련된 여러가지 상담을 해주고 적성검사를 제공하고 해석해준다. 또 직업시장이나 노동시장과 관련있는 정보를 수집해서 분석한 후 구직자들에게 보여준다. 직업상담사가 되면 취업컨설턴트가 되거나 취업지원센터에 갈 수 있다.
관광통역안내사 하는 일은?
관광통역안내사가 하는 것은 한국에 놀러온 관광객들에게 출국할때까지 외국어를 사용해 역사를 가르치고 문화를 알려준다. 여행의 시작부터 끝까지 외국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관광객들의 관광 일정에 대한 최대한의 도움을 줘야 한다. 여행할 때가 아니어도 가끔 산업 목적의 통역을 하는데 △해외 바이어 △산업시찰단에게 외국어를 홍보를 하면서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관광통역안내사가 될 경우 의료코디네이터, 동시통역사 등 전문가로서 역량을 확대할 기회가 생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