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다고 방심해선 안되는 건강관리, 주기적인 건강검진으로 진행하자!…'국가 건강검진부터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소개

김지은 / 기사승인 : 2019-07-29 09:48:18
  • -
  • +
  • 인쇄
▲(사진=ⒸGettyImagesBank)

건강검진은 나이가 들어갈수록 꼭 필요한 요소다. 이는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사전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진행한다. 건강검진은 연령대가 높은 사람만 받는 것이 아니다. 젊은 나이라고 해서 병에 안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젊은 층도 건강에 자만하지 않고 건강검진으로 통래 건강관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건강검진은 크게 종합건강검진, 직장인건강검진,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이 있다. 이에 종류별 건강검진 받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정부에서 진행하는 '국가건강검진'

국가 건강검진은 일정나이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국가가 무료로 건강검진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 국가 건강검진은 2년마다 무료로 받을 수 있는데, 일반 건강검진과 국가 암 검진을 제공하고 있다. 출생연도가 홀수인 대상자는 홀수년에 검진이 가능하고, 짝수년도에 태어난 대상자는 짝수년에 국가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부터 2019년 국가 건강검진이 20대~30대도 받을 수 있도록 대상자가 확대되었고, 암검진 항목에 폐암 검진도 늘어나 많은 사람들이 검진을 다양하게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때, 암 검진은 검진 연령과 검진 주기가 각각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장인의 건강 관리하는 '직장인 건강검진'

회사와 업무에 신경쓰다보니 정작 자신의 몸에 신경을 잘 쓰지 못하는 직장인들을 위해 기본적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가입되어 있는 직장인이라면 정해진 기간에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재직기간이 1년 이상인 직장인들은 직장인 건강검진 대상자가 되는데, 만약 1년 미만일 경우 사업체를 통해 따로 건강검진 신청을 해야 한다. 직장인 건강검진 대상 조건에 해당하면 해당 병원과 기관을 찾아 가까운 검진기관에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검진 기관에 따라 내역 등이 차이가 있으니 방문 전 체크하는 것이 좋다.


나이에 따라 진행되는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은 해당 연령에 검진이 필요한 건강 포인트를 위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다. 연령대별로 건강검진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영유아기에서는 성장과 발달과 관련한 검진을 받는 것이 좋고, 신체발육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10대에는 비만 및 유행성질병 등의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사회생활을 이제 막 시작하는 20~30대에는 식생활은 불규칙해지고 체지방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본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몸의 노화가 서서히 진행되는 40~50대는 당뇨병, 관절염 등의 검사를 받는 것이 좋으며, 노년기에는 체매 등 각종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뇌 쪽의 검사와 심리검사 등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때 당뇨, 고혈압 등 가족력이 있는 질병이 있다면 이에 대한 검진도 추가적으로 받는 것을 추천한다. 더불어, 건강검진 항목 별로 건강검진 전 금식을 해야 하는 진단도 있으니 해당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