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직 잘하는 법이 주목을 받음과 동시에 외국어 자격증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제일 많은 것은 텝스와 토익 등의 영어실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영어가 대중화되면서 일본어, 중국어같은 다른 어학시험 지원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대기업, 중소기업이 제 2외국어 성적이 좋으면 점수를 높게 부여하기 때문이다.
국내 취업에 이어 해외취직도 가능한 어학시험들을 알아보자.중국어 자격증은 수많은 종류가 있다.
따라서 본인의 목적에 맞는 시험부터 알아봐야 한다.
가장 응시율이 높은 HSK는 외국인을 위한 중국어 시험이다.
중국이 주최하는 시험이므로 중국어 자격증 중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보통 HSK는 초, 중, 고 3등급으로 나뉘는데 1, 2급이 초급이고 중급은 3급과 4급이다.
5급과 6급은 고급으로 보는데, 만약 고급시험에 합격하면 중국어를 잘하는 것으로 보게된다.
5급을 따면 중국어로 된 신문을 읽을 수 있고 중국어 영화와 방송을 볼 수 있는 수준이다.
또한 6급을 따면 중국어를 듣는 데 어려움이 없으며 중국어로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다.
TSC는 일종의 '중국어 말하기 시험'이다.
인터뷰로 진행되며 다양한 질문을 이용해서 회화 능력의 척도를 보는 것이다.
또한 HSKK(HSK Speaking test)도 회화시험 중 하난데 회사나 학교같은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말하기를 주로 평가한다.
BCT같은 경우 비즈니스 중국어를 많이 보고 주로 해외 영업이나 무역회사를 준비하는 사람이 본다.우리가 가장 잘 아는 일본어 시험은 JPT와 JLPT가 있다.
두 가지 시험 모두 자신의 일본어 실력을 점검할 수 있다.
하지만 점수 체계 및 주관하는 장소, 시험의 빈도에서 차이가 있다.
JLPT의 주관처는 일본 국제교육협회고 등급제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JPT는 한국에서 보는 시험이고 토익처럼 990점이 만점이다.
JLPT는 한 해에 시험이 두번밖에 없으므로 합격할 기회가 매우 적지만 JPT는 매달 시험이 있기 때문에 여유롭게 준비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JPT의 성적을 높게 보지만 JLPT는 일본이 직접 주관해서 해외취업에 유리하다.
JLPT에서 가장 높은 1급과 JPT 최고점인 990점 중에서 JLPT 1급이 더 쉽다고 한다.JLPT는 1년에 두번만 보기 때문에 한 번 볼때 잘 봐야 한다.
따라서 공부를 제대로 해서 철저한 대비로 높은 점수를 노려야한다.
우선 시작하기 전에 어휘력을 길러야 한다.
어휘에서 음독과 훈독이 비슷한 한자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들과 비슷하게 생긴 한자를 구별하는 문제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시험에 나오는 한자들을 모아 따로 정리해서 외우는 것도 좋다.
또 출제가 자주 되는 유형을 잘 파악한 다음에 의미를 떠올릴 수 있도록 단어를 같이 외우는 것이 좋다.
독해영역을 공부할 때는 길이에서만 달라지기 때문에 소거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JLPT는 비즈니스 일본어 문제가 많이 나와서 평소에도 관련된 문제를 많이 접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