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쁘고 불규칙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고혈압'이 어렵지 않게 나타나곤 한다.
고혈압은 중장년층들이 주로 호소하지만, 최근에는 예년에 비래 30, 40대의 젊은 고혈압 환자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남녀노소 모두 고혈압 예방에 더욱 힘써야 한다.
때문에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혈압 수치가 다소 높다면 생활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해 혈압 정상수치로 낮추는 법으로 고혈압을 예방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이에 고혈압의 대표적인 증상부터 고혈압 예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자.고혈압은 혈관에 전해지는 혈류의 압력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 진단 기준이 바뀌면서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mmHg 이상인 경우에 고혈압을 진단한다.
최근에는 30~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대 사람들이 고혈압 위험 요소인 ▲스트레스 ▲음주 ▲흡연 ▲짜게 먹는 식습관 등에 습관화되면서 고혈압 발병이 증가했다.
그러나 30~40대의 젊은층들은 고혈압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평소 관리를 방심한다.
이 경우 고혈압이 합병증을 만들게되고, 2차성 고혈압이 생겨 심부전, 신장염, 내분비질환 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젊은 고혈압이라고 해서 안심해선 안된다.

고혈압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고혈압 위험 요인을 없애야 한다.
먼저, 흡연하는 습관은 혈관을 좁게하고 탄력을 잃게 만들어 고혈압 발생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흡연을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음주는 그 자체로 혈압이 높이 올라가기 때문에 지나친 음주는 삼가해야 한다.
이와 함께, 직장 및 학업 등으로 쌓인 스트레스도 고혈압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일상 속에서 취미활동이나 운동을 주기적으로 하는 것도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 밖에도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음식을 짜게 먹지 않는 등 균형있는 식습관을 갖는 것도 고혈압 예방에 큰 효과가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