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은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생활 필수품이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및 LG전자, 그리고 애플의 아이폰 등 다양한 기능을 자랑하고 있는 최신 스마트폰의 출시가 매년 끊이질 않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함께 1년동안 분실되는 스마트폰이 거의 100만 대에 도달한다고 전해진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을 분실했을 때 소비자피해는 약 5,650억 원에 도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다르게 잃어버린 스마트폰을 다시 발견할 확률은 절반 정도 밖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핸드폰을 잃어버리면 새로운 핸드폰으로 다시 사야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해가 따른다.
이와 더불어 스마프톤 내부에 있는 성명,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위와 같이 스마트폰 분실로 인한 손해는 상당한 것에 비하지만 스마트폰 분실에 대한 대처방법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분실된 휴대폰을 찾기 위해서는 초기 대응 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에 스마트폰 분실 시 대처하는 법과 찾는 방법을 소개한다.휴대폰을 분실했을 때 반드시 분실 신고를 해야 한다.
핸드폰 분실 신고 방법은 각 이동통신사 고객센터에 전화하는 방법이 있으며,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다면 이동통신사 홈페이지에서 분실 신고를 진행하면 된다.
이를 진행할 경우 이동통신사 별로 분실 신고를 비롯해 해제 신고도 가능하니 참고해보자.
스마트폰을 잃어버린 경우 데이터의 유출을 막으려면 분실 확인증을 발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실 확인증은 잃어버린 핸드폰을 사용한 자의 개인적인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필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이에 핸드폰 분실 확인증 발급을 위해 경찰청 유실물 종합센터 또는 집에서 가까운 지구대, 경찰서로 방문하면 발급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택시에서 잃어버린경우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택시 요금을 카드로 했을 경우 영수증에서 결제 시간 등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연락을 취한 후 핸드폰을 찾을 수 있다.
또, 요금을 티머니로 계산한 경우 티머니 센터로 전화하면 택시기사의 연락처나 택시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현금 결제 시엔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지역별 유실물센터 전화번호를 찾을 수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