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근과 스트레스로 잘못된 생활습관이 주를 이루는 현대인들에게는 ‘고혈압’이라는 불청객이 생겨날 수 있다.
기존의 고혈압은 중·장년층에게서 많이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청년층에서도 고혈압 발병이 급증하고 있어 나이와 아무런 상관없이 고혈압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라 이를 방치하면 심근경색, 뇌경색 등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조용한 살인자'라고도 불린다.
때문에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혈압 수치가 다소 높다면 반드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혈압 정상수치로 낮추는 법을 습관화하는 것이 좋다.
이에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는 고혈압에 대해 알아보자.고혈압은 말 그대로 혈압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것으로, 성인의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 혹은 확장기 혈압이 80mmHg 이상일 때다.
이는 한국인의 30% 정도가 걸릴 정도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기존에는 중·장년층에게서 고혈압이 많이 발생되었지만 최근 젊은층들에게 고혈압의 원인 요소인 음주, 흡연, 과도한 나트륨 섭취, 스트레스 등에 쉽게 처해지면서 고혈압을 진단받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들은 질병 자체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평소 관리를 방심한다.
이렇게 되면 고혈압에서 합병증으로 이어지거나 2차성 고혈압이 나타나 다양한 심혈관질환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나이가 어리다고 해서 방치하거나 안심해선 안된다.만병의 근원이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 위험 요인을 없애야 한다.
먼저, 흡연하는 습관은 혈관을 좁게하고 탄력을 잃게 만들어 고혈압 발병을 높이기 때문에 담배를 끊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술을 마실 경우 혈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과도한 음주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직장 및 학업 등으로 쌓인 스트레스도 고혈압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이를 해소시켜줄 수 있는 취미활동이나 운동도 고혈압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 외에 비만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표준체중을 유지하고 짜게 먹는 습관을 고치는 등 균형있는 식습관을 갖는 것도 고혈압 예방에 효과적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