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폐소생술의 개념은 정지된 심장을 대신해서 흉부를 누르면서 우리 몸에 피가 돌게 하는 응급처치다.
여러 방면에서 쓸 수 있기 때문에 학교에서 교육차 심폐소생술 강의를 한다.
그러나 얼마나 중요한지 아는 경우는 적다.
심정지 상태에서 5분 넘게 심폐소생술을 못받으면 뇌 손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대응해야 한다.
실제로 초기 응급처치로 환자가 살 가능성이 높아진다.우선 쓰러진 환자의 반응부터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어깨를 툭툭 쳐보면서 의식을 확인하고 반응이 돌아오지 않으면 119에 전화를 해 신고한다.
신고하고 나서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살펴본 다음 숨을 쉬지 않는다면 심폐소생술을 해야만 한다.
심폐소생술 절차는 가슴압박 및 기도개방, 인공호흡으로 진행된다.
가슴압박 같은 경우 손을 깍지끼고 손바닥을 써서 환자의 가슴뼈 아래 1/2 지점을 30번씩 누르는 것이다.
압박 깊이는 약 5cm고 분당 약 100번 눌러야 한다.
가슴을 압박했으면 인공호흡의 목적으로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올려 기도를 열어야 한다. 환자의 기도를 열었으면 환자의 코를 막고 환자의 입에 자신의 입을 밀착한다.
이후 환자의 가슴이 움직일 정도로 약 1초간 숨을 불어준다.
구조대가 오기 전까지 가슴압박 및 인공호흡을 번갈아 해야하고 만약 호흡이 돌아왔으면 옆으로 돌려서 눕혀줘야 한다.
이는 환자의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자격증 따는 법은 어렵지 않다.
우선 대한심폐소생협회 홈페이지에 접속해 가입부터 해야한다.
이후 의료인 과정과 일반인 과정 중 선택한 다음 자신에게 맞는 날짜를 선택해야 한다.
신청이 잘 확인되고 나면 교육이 있는 날 8시에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필요한 것은 머리끈과 함께 공책, 교재, 볼펜 등이다.
교육이 완료되면 실기와 필기시험을 보는데 필기시험 합격하는 법은 25문제 중에서 4개 이하를 틀려야 한다.
19개를 맞혔을 경우 재시험을 응시할 수 있으나 18문제 부터는 교육을 또 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