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민들레를 씨앗을 바람에 날리는 재미가 있는 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민들레는 몸 속 독소를 제거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민들레가 '포공영'으로 기록돼있고 열독을 풀고 악창을 식히며 먹으면 소화가 잘된다고 쓰여있다고 한다. 21세기에는 민들레의 독소 제거가 재조명을 받기 시작하면서 간암 및 간경화에 좋다고 알려지고 있다. 민들레 효능, 부작용과 다양한 민들레 요리로 민들레 먹는법을 알아보자.
민들레 간 회복에 좋아
민들레에 있는 실리마린 성분은 간 보호 효능이 있으며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앞서 말한 성분은 잎과 줄기에 제일 많이 있으며 뿌리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민들레의 콜린은 간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고 담즙을 분비해서 소화와 지방분해를 촉진한다. 이에 민들레를 섭취할 경우 안색이 누렇게 변하는 황달 완화 효능이 있잖아. 하지만 민들레만 섭취하면 황달이 없어지지 않을 수 있고 여러가지 한약재들과 섞는 것이 좋다. 또한 초기는 효과적일수 있지만 만성적으로 간 수치가 높으면 의사와 상담을 하고 난 다음 섭취해야 한다. 민들레 속에는 식이섬유인 이눌린이 풍부하게 들어있기 때문에 당뇨 환자에게도 좋다. 또한 몸 안의 염증을 없애서 식도와 위장의 염증을 제거할 수 있다.
민들레 요리 이렇게 다양해?
많은 사람들이 민들레를 먹을때 건조한 다음 미온수에 우려낸다. 또한 민들레 효능이 재조명되면서 민들레뿌리차가 인기가 많아졌다. 이밖에도 민들레는 민들레 요리들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우선 민들레의 잎을 양념장과 잘 섞어서 민들레 나물로 먹는다. 민들레 이파리는 국으로도 끓이고 장아찌로 담가 먹는 것도 어울린다. 김치 담그는 방법이 발달하면서 민들레 이파리로 '민들레 김치'가 등장했다. 혹시 민들레를 오랫동안 먹고 싶을 경우 민들레로 담금주를 만들 수 있다. 민들레 꽃과 뿌리를 넣은 다음 소주를 붓고 한 달 기다리면 민들레 담금주가 된다. 민들레술을 담글 때 설탕을 한 두 스푼 넣으면 민들레술의 향과 맛이 살아나게 된다. 한편 민들레 가루도 출시됐지만 맛이 매우 써서 단 것과 같이 먹어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