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탁기는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으며 사람의 청결과 직결돼 있는 가구다.
반면 옷을 빠는 사람은 많아도 세탁기의 위생 여부까지 생각하는 것은 못하곤 한다.
세탁기를 오랫동안 쓸 경우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세탁기 안쪽을 더럽게 만든다.
따라서 그냥 보면 이상이 없어보일수도 있지만 오래된 세탁기를 분해할 경우 내부가 지저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세탁을 할 경우 빨래를 해도 냄새가 나고 피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우선 세탁기를 구입하고 나서 1년이 지났을 때 청소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 세탁기가 위치해 있는 곳이 다소 습하다면 청소를 하는 것이 좋다.
주기적으로 청소할 경우 천식과 피부병을 방지할 수 있다.
옷을 빨았는데도 불구하고 퀘퀘한 느낌이 들거나 이물질이 묻어나오면 세탁기를 한 번 점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를 돌렸을 때 물에서 검은색 이물질이 나오면 세탁기를 한 번 점검해보자.
집에 어린이나 노인 등의 면역력이 중요한 사람이 있다면 꾸준히 세탁기를 청소해야 한다.
방치된 세탁기에는 대장균과 곰팡이 등이 생길 수 있다.통돌이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는 청소하는 법이 다르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드럼세탁기와 통돌이세탁기 청소 팁을 알려줬다.
통돌이세탁기는 청소하기 전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 물, 소금을 섞어 세척제부터 만들어야 한다.
그 다음, 세탁조에 온수를 채우고 세척제를 넣어서 충분히 녹인다.
세탁모드로 15분 동안 돌리고 1시간 정도를 기다려주면 헹굼과 탈수를 해서 때를 없애야 한다.
드럼세탁기 같은 경우 거름망과 고무패킹, 세탁조 세 가지를 청소해야 한다.
고무패킹은 베이킹소다를 칫솔에 묻힌 다음 청소하면 깨끗해진다.
세탁조 청소는 삶음 모드를 켠 다음 그대로 돌려준다.
거름망은 드럼세탁기 아래 뚜껑을 열고 돌려서 뺀 다음 칫솔로 닦아준 다음 물로 세척해주면 된다.세탁기를 잘 관리해도 빨래 관리가 안될 경우 빨래에서 냄새가 나 불쾌할 수 있다.
특히 빨래를 말릴 때 잘못할 경우 냄새가 난다.
빨래건조대는 좁기 때문에 말릴 때도 빽빽하게 말린다.
하지만 빨래를 좁은 간격에서 말리면 마르는 시간이 오래 들고 냄새가 나게 된다.
따라서 빨래를 건조대에 놓을 때 넒은 간격을 두어야 한다.
또한 빨랫감 사이사이에 마른 신문지를 끼우거나 그 밑에 신문지를 끼울 경우 신문지가 습기를 흡수해 빨래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빨래를 말릴 때는 직사광선에서 말려야 빨래 속 세균이 없어지며 냄새가 나지 않게 말려진다.
빨래를 끝내고 나서 건조기를 통해서 완전히 말려도 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