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들의 사망원인 중 하나인 암은 어떤 종류라도 걸리고 싶지 않지만 암 중에서도 췌장암은 불안감이 높은 편이다.
이는 췌장암은 발견이 어려워 사망율이 높기 때문이다.
췌장은 위장의 뒷부분에 존재한다.
췌장암은 췌관세포에서 발생한 췌관 선암종이 90%를 차지하고 있다.
췌장암의 연령은 보통 35세에서 70세 사이에 생기며 생존률은 매우낮다.
이는 이 췌장암 같은 경우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서 암을 빨리 발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완치를 위한 수술은 환자 중에서도 20~25% 의 수치만 완치의 희망이 있고, 아예 절제술 마저 불가능한 환자가 가질 수 있는 시간은 반년 정도다.
이 시기엔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생존기간 중 완치보다 조금이나마 고통을 줄이기 위해 수술을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초기의 증상이 드러나지 않은 췌장암은 암이 발견됐을 땐 이미 늦을 수 있으니 초기증상을 숙지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췌장암에 걸리는 원인은 확실한 것을 알 수 없으며, 다른 암에 비해 암으로 까지 발전하는 암 직전인 병변도 눈에 띄지 않아 발견하면 거의 진행이 됐다고 봐야한다.
하지만, 췌장암 발병을 유발하는 위험인자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췌장암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로 오래된 당뇨병과 45세 이상의 연령, 흡연경력 등이 존재하고, 또는 만성 췌장염이나 가끔은 유전적인 질환으로 췌장암을 발생시킨다고 전해지기도 한다.췌장암의 초기증상은 발견이 어려워 조기발견이 어렵다.
대표적인 췌장암 초기증상은 이유없는 체중감소, 식욕부진,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어 당뇨 증상이 드러나거나 기존에 당뇨병있다면 더 안좋을 수 있다.
특히 췌장 몸통이나 꼬리 부분의 암은 주로 초기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병이 진행된 이후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아니라 또 소화가 잘 되지 않거나 대변상태 외에 환자 중 어떤 이는 드물게 변비가 있기도 하다.
또한 5%이하 환자는 위장관 출혈, 정서불안이나 우울증 등 정신적으로도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췌장암은 생존율이 낮은 암으로 완치가 좀 힘든 암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보통 췌장암은 암이 상당히 진전된 후 알아차리기 때문이다.
췌장암을 치료하려면 대표적으로 췌장암 수술이 있다.
췌장암 완치를 위해서 절제술을 하는데 그러나 췌장암을 조기발견해야 한다.
췌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지방, 고칼로리 식습관을 지양하고 특히 담배는 췌장암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금연은 필수다.
게다가 당뇨병 환자라면 췌장암 발병의 원인이 높아지니 당뇨 환자는 꾸준히 치료를 받고 식이요법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