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탁기는 필수 가전제품 중 하나며 그 집이 얼마나 깨끗한지 보여준다.
반면 옷을 세탁하는 경우는 있어도 기계의 깨끗함까지 신경쓰는 것은 못하곤 한다.
1년 이상 세탁기를 사용할 경우 물때와 곰팡이, 세제 찌꺼기 등이 세탁기를 더럽히곤 한다.
겉으로 봤을때는 이상이 없어보일수도 있지만 오래된 세탁기를 분해할 경우 내부가 지저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세탁을 할 경우 세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옷에 닿는 피부가 상한다.일반적으로 세탁기 구입 후 1년 정도 지났을 시기에 청소를 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또 세탁기가 위치해 있는 곳이 습도가 높을 경우 한 번 청소해야 한다.
세탁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면 천식과 피부병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세탁기로 돌린 옷에서 퀘퀘한 느낌이 들거나 얼룩이 지는 경우 세탁기 청소를 할 시기라는 것이다.
또 세탁기로 빨래를 할 때 물에서 검은색 이물질이 나오면 세탁기 청소가 꼭 필요하다.
집안에 노인, 어린이 등 면역성이 약한 사람이 있다면 청소를 더 주기적으로 해야한다.
세탁기를 방치하면 각종 세균이 서식하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세탁기는 어떻게 청소해야 할까? 최근 한 TV프로그램은 세탁기의 묵은때를 제거하는 법을 공유했다.
통돌이세탁기를 청소하기 전에 먼저 물과 과탄산소다, 베이킹소다, 소금을 섞어 세척제부터 만들어야 한다.
이후 세탁조에 온수를 끝까지 채워넣고 세척제를 물에 넣어서 녹인다.
그 상태로 15분 동안 세탁기를 돌리고 한 시간 동안 때를 모두 불리면 행굼모드를 통해서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
드럼세탁기 청소는 △고무패킹 △세탁조 △거름망 세 가지로 분류된다.
우선 고무패킹은 베이킹소다를 묻힌 칫솔로 닦아주면 된다.
세탁조는 삶음 모드로 설정하고 나서 돌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거름망은 아래 뚜껑을 열고나서 돌려서 뺀 다음 칫솔을 이용해서 닦고 물로 세척해주면 된다.세탁기를 꾸준히 청소했어도 빨레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빨래에서 냄새가 나 불쾌할 수 있다.
특히 빨래 건조에서 많은 사람들이 실수한다.
보통 건조대가 좁기 때문에 한 칸씩 널어서 말리곤 한다.
하지만 빨래의 간격이 좁으면 마르는 데 오래 걸리고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조대에 빨래를 널 때 간격을 띄우는 것이 좋다.
또 빨래를 널었을 때 그 사이 혹은 빨래 밑에 신문지를 놓으면 신문지가 습기를 흡수해 불쾌한 냄새를 막을 수 있다.
빨래는 직사광선에서 바짝 건조해야 빨래에 있는 세균이 제거되며 냄새가 나지 않는다.
빨래를 하고 나서 건조기에 돌려서 건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