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사람들이 민들레를 길가에서 볼 수 있는 들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민들레는 몸 속 독소를 제거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민들레가 '포공영'으로 기록돼있고 면역력을 키워주고 체기를 내리는 데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적혀있다고 한다.
현대 사회에 와서 노폐물 제거가 재조명을 받기 시작하면서 간암 및 간경화에 좋다고 알려지고 있다.
민들레 효능, 부작용과 민들레 분말을 통해서 민들레 먹는법을 알아보자.민들레에 함유된 실리마린 성분은 간 보호 효능이 있으며 간 세포 재생 효능이 있다.
실리마린은 꽃 아래쪽에 많이 있으며 뿌리에서도 발견돼고 있다.
또 민들레에 함유된 콜린 성분은 지방간을 예방해주며 담즙 분비를 도와서 소화를 잘시키게 한다.
따라서 민들레를 먹으면 안색이 노랗게 되는 황달을 가라앉히게 된다.
그러나 민들레를 그냥 섭취하면 효과적이지 않으며 여러가지 한약재들과 섞는 것이 좋다.
또 황달 초기에는 효과적이지만 간 수치가 계속 높게 나오면 전문의와 상담을 한 다음 먹는 것이 좋다.
민들레는 식이섬유의 일종인 이눌린이 풍부하게 들어있기 때문에 혈당 강화에도 좋다.
또한 소염작용이 있어서 식도염을 예방할 수 있다.

민들레는 보통 잎이나 꽃을 말린 다음에 따뜻하게 우려서 마신다.
또한 최근에는 민들레뿌리로 만든 차가 등장했다.
민들레는 그 외에도 민들레 요리들을 통해 먹을 수 있다.
먼저 민들레의 이파리를 양념장에 무쳐 민들레 나물을 만든다.
민들레 이파리는 국으로도 끓이고 장아찌 재료로도 잘 어울린다.
여러 가지 김치가 등장하면서 민들레 생잎으로 김치를 담그기도 한다.
혹시 민들레를 오랫동안 먹고 싶을 경우 민들레로 담금주를 만들 수 있다.
민들레 꽃과 뿌리를 넣은 다음 소주를 부어서 한 달 정도 숙성하면 민들레 담금주가 만들어진다.
민들레 담금주를 숙성할 때 꿀이나 설탕을 넣으면 민들레술의 풍미가 살아난다.
한편 민들레 분말도 있지만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단 것을 곁들여서 먹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