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성한 먹거리와 넘치는 식욕으로 인해 급체 증상이 일어나거나 속이 더부룩해 소화불량이 일어날 때면 손을 따거나 탄산이 들어있는 음료를 흔히 찾는다.
그러나 이는 의학적인 측면에서 설명된 바가 없으며,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한 행동이다.
따라서 음식을 급하게 먹어 체했을 때는 바늘로 손을 따는 것보다 지압으로 손을 꾹꾹 눌러주는 것이 더 좋고, 탄산음료보다는 매실액을 물에 희석해서 먹는 것이 급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매실액은 매화나무 열매인 매실에서 직접 빼낸 액체로 혈액을 정화시키는 유기산과 구연산 성분이 풍부해 우리 몸에 좋은 영향을 가져다 준다.
하지만, 익지 않은 매실은 떫은 맛이 상당히 강하고, 다 익었을 때의 매실은 신맛이 무척이나 강하기 때문에 매실 그 자체로 먹기보다 매실액으로 먹거나 매실청, 매실주스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
이에 급체 증상을 완화시키는 매실액에 대해 살펴보자.매실은 해독, 향균, 면역증강 등의 효능이 있어 설사가 심할 때 섭취하면 지사제 역할을 해준다.
이와 더불어, 매실액은 위와 장을 진정시켜 식중독 개선에도 좋고 소화액을 분비시켜 소화를 원활히 하며, 위산 분비를 조절해준다.
술 먹은 다음날 매실액을 섭취하는 것도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
매실의 피크린산이 숙취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기 때문에 술을 마신 다음 매실액을 물에 타 마시면 숙취없이 가뿐해진다.
이 밖에 매실 속에는 비타민 함유량이 많아 피로 회복에도 좋을뿐더러 근육에 쌓인 젖산을 분해해 피로를 풀어주는 시트르산도 풍부해 근육통을 해소하는데에도 기여한다.

매실을 잘 고르기 위해서는 껍질이 깨끗하고 상처가 없는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또한, 색깔이 초록빛으로 선명하고 이가 안들어갈 정도로 단단한 것이 좋다.
단, 용도에 따라 고르는 기준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알아두자.
매실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그 중 매실청이 사람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어른은 물론, 아이들의 입맛까지 사로잡은 매실청은 매실과 설탕을 1:1 비율로 담가 만든 것으로 숙성된 매실청을 물에다 타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매실주스가 된다.
매실 원액의 농도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게 10~15mL 정도를 물 한 컵과 희석해서 하루에 1~2컵 정도가 가장 적당하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