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대 세계 진미는 서양에서 으뜸이라 다뤄지는 재료를 말한다.
트러플, 푸아그라, 캐비어가 해당된다.
값어치가 높고 풍미와 맛에 대한 소문이 많아 궁금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중에는 문제가 되는 부분도 있다.송로버섯(트러플)은 요즈음 주목을 이끌어내는 식재료 중 하나다.
송로버섯, 트러플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떡갈나무숲 아래에서 자라 '땅 속의 다이아몬드'라 불린다.
트러플이 귀한 식재료로 다뤄지는 이유는 사람이 키우는 것이 까다로워 그 희소성을 시인되는 것이다.
트러플의 종은 30가지가 넘는데 백트러플이 제일 값비싸게 취급받는다.
트러플 활용법은 음식에 트러플의 향을 곁들여주는 조리법으로 대개 먹는다.캐비어는 철갑상어 알을 말한다.
캐비어는 3가지로 나뉘어진다.
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세브루가, 오세트라, 벨루가로 나눌 수 있다.
가장 큰 그기를 가진 것은 벨루가며 가격 역시 가장 높다.
캐비어는 고소한 맛을 가지고 있고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캐비어를 만드는 과정은 상어에서 알을 들어내 위에 소금을 뿌리고 빠르게 살살 버무린다.
캐비어를 보관하는 방법은 온도가 맛에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에 캐비어 캔을 딴 후 곧바로 먹는 것이 좋다.
그러나 캐비어가 부를 상징하는 것이 되면서 캐비어를 위한 무분별한 철갑상어 포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진 철갑상어 종이 생기면서 문제를 제시하는 사람들이 늘었다.푸아그라는 불어다.
간을 뜻하는 ‘푸아’와 살이 쪄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라'를 합성한 것이다.
이런 푸아그라로는 대부분 거위나 오리의 간을 사용한다.
푸아그라는 부드러운 감촉으로 미식가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요즘 들어 푸아그라를 만드는 과정이 알려지면서 반발을 이끌고 있다.
푸아그라 만드는 방법는 간에 지방이 많고 크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좁은 우리 안에 있게 해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이외에도 목을 움직일 수 없도록 하고 목에 사료관을 투입해 강압적으로 사료를 주입한다.
이러한 잔혹한 과정을 거치는 곳이 있어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