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민들레를 노랗고 하얀 꽃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민들레는 몸에 좋은 음식이다.
동의보감을 보면 '포공영'이라는 이름으로 몸 안의 소염작용을 하고 먹으면 소화가 잘된다고 쓰여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민들레의 디톡스 효과가 화제가 되면서 천연 간 해독제로 알려지고 있다.
민들레의 각종 효과, 다양한 민들레 요리로 민들레 먹는 법을 모아봤다.민들레의 실리마린은 간을 건강하게 만들며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한다.
앞서 말한 성분은 꽃보다 잎과 줄기에 특히 많고 뿌리도 많이 들어있다.
또한 민들레에 들어있는 콜린 성분은 지방간을 막아주고 담즙을 분비하게 해서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다.
그러므로 민들레를 먹는다면 얼굴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을 가라앉힐 수 있다.
그러나 민들레만 먹으면 황달이 없어지지 않을 수 있고 한약재를 섞어서 먹는 것을 추천한다.
또 황달 초기에는 효과적이지만 만성적으로 간 수치가 높으면 전문의와 상담을 한 다음 먹어야 한다.
민들레 안에는 일종의 식이섬유인 이눌린이 많기 때문에 당뇨 환자에게 권장된다.
또한 몸 안의 염증을 없애서 위장의 염증을 없앨 수 있다.민들레는 차가운 성질이다.
따라서 만성위염이 있는 사람이 민들레를 먹을 경우 역효과가 날 수 있다.
또한 만들레에 함유된 이눌린을 보면 장 내 유익균을 배양하는 효능이 있으나 위장이 찬 사람이 오랫동안 먹게 되면 위장의 점막이 상하면서 장에서 가스를 만들고 속을 불편하게 한다.
만약 예민한 피부를 가졌거나 민들레 알레르기를 갖고 있어도 민들레를 조심해야 한다.
민들레가 맞지 않았을 때 생기는 증상은 얼굴에 나는 두드러기다.
△국화 △데이지 △금잔화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면 민들레 알레르기도 갖고 있을 수 있으니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칼륨이 들어있는 혈압약을 먹는 중이라면 민들레의 풍부한 칼륨 성분이 오히려 콩팥에 부담을 주고 심장 기능을 떨어트린다.
뿐만 아니라 민들레는 항생제 성분의 흡수를 방해한다.많은 사람들이 민들레를 먹을때 건조한 다음 미온수에 우려낸다.
또한 민들레 효능이 재조명되면서 민들레뿌리로 만든 차가 등장했다.
민들레차 외에도 민들레는 다양한 요리법을 통해 섭취 가능하다.
우선 민들레의 잎을 양념장에 무쳐준 다음 나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민들레잎은 국거리로도 좋고 장아찌 재료로도 잘 어울린다.
김치 담그는 법이 발달해서 민들레 잎을 이용해 김치를 담가서 먹기도 한다.
만약 오랜 기간동안 먹으려면 민들레 담금주를 만들어보자.
민들레 꽃과 뿌리를 넣은 다음 소주를 부어서 한 달 동안 기다리면 민들레 술이 완성된다.
민들레 담금주를 만들 때 설탕, 꿀을 넣어주면 민들레 담금주의 풍미를 느낄 수 있다.
한편 민들레 가루도 시중에 있지만 맛이 매우 써서 꿀과 함께 먹는 것을 추천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