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몸에 어떤 곳이라도 질환에 감염되면 초기증세가 일어난다. 체내에서도, 뇌는 신경을 다스리기 때문에 혹여나 뇌에 질환이 발병했을 때 심각한 전조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사망율이 높은 암을 뺀 우리나라 인구의 주요사망원인 일, 이위를 다투는 것은 심뇌혈관질환이다. 여기에 계속해서 꽤 많은 뇌경색 환자가 나타난다. 사망율이 높은 암도 위험하지만 뇌경색은 대한민국 국민 3대 사망이유로 꼽히고 각종 암을 빼고 전체 질환 중 사망 이유 1위에 이름을 올린 무시무시한 병이다. 보통 환자들은 뇌혈관질환을 날씨가 쌀쌀할 때 조심하곤 하지만, 기온이 높을 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뇌경색 전조증상을 숙지하고 초기에 치료해야한다. 또한 뇌경색은 뇌졸중의 한 종류로 뇌혈관이 막혀 이 부분이 손상되는 것이다. 뇌의 영양혈관이 완전히 폐색되거나 강한 협착을 일으켜 혈액의 흐름이 낮아지면 그 쪽의 뇌 일부분의 조직이 괴사한다. 이와 함께 뇌졸중이 일어나는 이유와 초기증상, 뇌경색을 막는 생활습관까지 알 수 있다.
뇌졸중 나타나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뇌경색 역시 뇌출혈과 뇌경색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뇌경색은 전체 뇌졸중의 80% 가까이를 차지한다. 이런 뇌 질환의 이유는 바로 '동맥경화' 때문이다.또 동맥경화의 이유는 고혈압이나 당뇨 등 성인병들 때문에 혈관에 지방이 쌓여 좁아지거나 혈관이 막혀 원활한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것이다. 이 밖에도 뇌졸중, 뇌경색은 부정맥으로 인해서 심장에 발생한 혈전이 뇌로 옮겨가면서 뇌혈관을 차단하면서 일어난다.
뇌경색 예방하는 방법은?
생활 속에서 뇌혈관질환을 쉽게 예방하려면 위험 요소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비만, 당뇨, 고혈압 등을 가지고 있는 만성질환자를 비롯해 연령이 높은 사람, 뇌졸중 가족력이 있는 혈관질환 고위험군의 경우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가져야 한다. 먼저 고혈압이 있다면 고혈압 약을 꾸준히 복용해 혈압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당뇨 역시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어서 당뇨가 있다면 평소 혈당 조절을 잘 해야 하며 브로콜리, 우엉, 현미 등의 식품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종합건강검진으로 뇌졸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을 차단해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