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에 다니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은퇴 이후를 생각하면 미래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 지 불안해하곤 한다.
직장에 다니면서 매월 받았던 월급이 은퇴하면 받지 못하게 되고, 노화에 진행됨에 따라 병원비 지출도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철저한 노후 자금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정부에서는 노후대비를 위한 3중 연금체계로 ▲개인연금 ▲퇴직연금 ▲국민연금을 구축했다.
이 중 노후 대비 방법으로 가장 많이 가입하는 형태가 '국민연금'이라고 볼 수 있다.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정부가 고령화에 따른 노후 문제를 막고자 마련한 제도로 향후 수입이 없을 때 생계비 지원 등으로 사회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이에 국민연금제도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자.국민연금이란, 정부가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소득이 있을 때 꾸준히 납부했던 국민연금 보험료를 가지고 소득활동에 종사하지 못할 경우 가입자 또는 유족에게 연금을 매달 수령함으로써 금전적으로 지원해주면서 국민들의 노후 자금을 마련해주는 제도이다.
그렇다면 국민연금의 가입 연령은 몇 세일까.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이라면 모두 가입 대상이 된다.
이때, 사업장 종사자의 경우 '사업장가입자'로 자동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하게 된다.
또, 국민연금은 10년 이상 만 60세까지 보험료를 꾸준히 낼 경우 빠르면 만 61세, 보통의 경우 만 65세부터 죽을 때까지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국민연금을 원활히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가입기간 120개월(10년)을 채워야 가능하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긴 기간동안 납부하게 되면 수령하는 연금액은 높아진다.

향후 받을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자세히 조회하려면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사이트 상단에 있는 '내 연금(노후준비)'를 클릭해 내 연금 알아보기를 통해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면 예상연금액 조회 등의 체계적으로 정리된 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못할 경우 간단한 예산수령액 모의계산은 물론, 예상연금의 간단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노후 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