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리의 세계는 매우 넓다. 요리에 관심많고 선호한다면 '3대 진미'에 관해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3대 세계 진미는 유럽 및 남북아메리카를 비롯한 서양에서 제일 좋다고 인정받는 음식재료들을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트러플, 푸아그라, 캐비어가 속해 있다. 값비싸고 소문이 자자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중에는 문제가 되는 부분도 있다. 평소 접하기 쉽지 않은 ‘3대 세계 진미’ 트러플, 푸아그라, 캐비어에 대해 알아보자.
'땅 속의 다이아몬드', 송로버섯(트러플)
트러플은 요즘 큰 유행을 이끌어 낸 식자재 중 하나다. 트러플과 송로버섯은 같은 말로, 땅 속의 다이아몬드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떡갈나무 숲 땅속에서 자라기 때문이다. 송로버섯이 값비싼 식재료로 여겨지는 것은 자연적으로 자라나는 것만 가능해 그 가치를 용납되는 것이다. 트러플의 가지는 30가지가 넘는데 백트러플이 가장 값비싸게 인정된다. 트러플 요리법은 음식에 트러플 오일 등을 넣어 향을 더해주는 레시피로 대부분 먹는다. 백트러플은 백트러플 자체로 먹기도 한다.
프랑스의 고급 요리, 푸아그라 '부드러운 식감을 자랑하지만'
푸아그라는 프랑스어다. 간이라는 의미의 '푸아'와 지방상태의 '그라'를 합성한 것이다. 푸아그라는 대개 거위 및 오리의 간을 쓴다. 푸아그라는 특유의 식감과 맛으로 미식가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요근래 푸아그라 제작 과정이 널리 알려지며 문제를 불러오고 있다. 푸아그라 만드는 과정은 동물의 간을 크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오리나 거위가 간신히 들어가 움직일 수 없는 우리 안에 있게 해 움직임을 작게 한다. 또한 목을 고정해 그 안에 튜브를 꼽아 강압적으로 사료를 준다. 이러한 잔혹한 과정을 거치는 곳이 있어 동물학대문제에 대한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