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집마다 꼭 있는 세탁기는 우리의 위생과 청결을 책임지고 있다. 반면 청결한 옷을 만들어내는 경우는 있어도 기계 자체를 청소할 생각은 대부분 하지 않는다. 반복적으로 세탁기를 쓰면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세탁기의 오염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겉모습만 보면 아무렇지도 않게 보이지만 막상 분해를 해보게 되면 부품 사이에 낀 오염물질이 발견된다. 지저분한 세탁기를 그대로 방치하면 빨래를 해도 냄새가 나고 피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세탁기를 청소하는 시기
일반적으로 세탁기를 산 다음 1년이 소요됐을 때 청소를 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또 세탁기를 둔 장소가 다소 습하다면 청소를 하는 것이 좋다. 꾸준히 청소를 하게되면 아토피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만약 옷을 빨았는데도 불쾌한 냄새가 나거나 이물질이 묻는 경우 세탁기를 청소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빨래가 진행중일 때 물에서 이물질이 발생하면 세탁기를 청소해야 할 시기가 왔다는 것이다. 집에 어린이나 노인 등의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 있다면 다른 집보더 청소를 더 많이 해야한다. 오래된 세탁기에는 대장균과 곰팡이 등이 생길 수 있다.
세탁기 어떻게 청소해야할까?
통돌이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는 청소하는 법이 다르다. 한 생활정보 프로그램은 세탁기의 묵은때를 제거하는 법을 공유했다. 통돌이세탁기를 청소하기 전에 먼저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 물, 소금을 넣어 세척제를 만든다. 세탁조에 온수를 끝까지 넣은 다음 세척제를 넣어서 섞어준다. 세탁모드로 설정하고 15분간 돌린 다음 1시간 정도 때를 불려주면 헹굼과 탈수를 해서 묵은 때를 없앨 수 있다. 드럼세탁기 청소는 거름망과 고무패킹, 세탁조 3개로 나뉘게 된다. 고무패킹은 베이킹소다를 칫솔에 묻혀서 닦으면 깔끔해진다. 세탁조는 삶음 모드로 설정하고 나서 돌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거름망은 아래 뚜껑을 열고나서 거름망을 돌려서 빼준 후 칫솔로 닦아준 다음 물로 세척해야 한다.
▲(출처=픽사베이)빨래 냄새 없애는 TIP
세탁기를 꾸준히 청소했어도 빨래를 제대로 안하면 빨래에서 냄새가 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말릴 때 실수를 하면 냄새가 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건조대의 간격 때문에 건조대 한 칸 한 칸 빨래를 빼곡하게 말린다. 그러나 빨래를 바짝 붙여서 말리게 되면 건조가 느리게 이루어지고 빨래에서 냄새가 난다. 따라서 건조대에 빨래를 널려면 세탁물 사이의 간격을 넓게 둬야한다. 또한 빨래와 빨래 사이에나 그 아래에 신문지를 놓으면 빨래 주변의 습기가 흡수돼서 냄새가 나지 않게 된다. 빨래는 직사광선에서 바짝 건조해야 항균 작용이 이루어지며 냄새가 나지 않는다. 빨래를 끝내고 나서 건조기에서 바짝 말려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