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깜빡거리기 불편한 안구건조증은 남녀노소가 달고사는 눈 질환이다.
약 33%의 사람들이 안구건조증에 걸렸으며 대부분 안구건조증 때문에 안과를 찾는다.
큰 병이라고 볼 순 없지만 낫지 않으면 거슬리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만약 안구건조증을 방치하면 각막이 손상돼 이전보다 안보일 수 있다.
따라서 눈이 평소보다 뻑뻑하면 안과에 방문해서 안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받는 것이 좋다.안구건조증, 언제 가장 증상 심할까?안구건조증 여부는 스스로 테스트해보면서 진단해보는 것이 좋다.
우선 눈이 뻑뻑하고 피로하며 모래알이 구르는 듯한 이물감이나 따가움이 느껴진다.
또한 컴퓨터를 할 때 눈에서 피로감이 느껴진다.
눈이 쉽게 피곤해지면서 하던 일의 능률이 떨어진다.
안구건조증 환자는 빛에 민감해지게 되는데 평소보다 눈부심이 심해지거나 눈물이 왈칵 쏟아지기도 한다.
특히 바람이 불면 눈물이 더 쏟아진다.
따라서 눈이 아프게 되고 시력이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안구건조증에 걸렸을 때 렌즈를 끼면 흰자가 붉게 충혈되기 때문에 렌즈 착용을 지양해야 한다.
눈이 쉽게 건조해지는 시간은 일어난 바로 다음부터 져녁대고 건조해지면 극심해질 수 있다.

안구건조증 예방하는 법은?안구건조증은 예방하는 것이 곧 치료하는 것이다.
먼저 눈을 주기적으로 쉬게 해줘야되는데 먼 곳을 바라보거나 적어도 한 시간에 10분은 눈의 휴식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눈 주변을 눌러주는 것도 피로를 부는 데 효과적이다.
커피는 안구건조증을 만드는 음룐데, 이뇨작용을 활발하게 만들어서 체내 수분을 배출시키기 때문이다.
많은 안구건조증 환자가 인공눈물을 많이 쓴다.
인공눈물은 눈을 촉촉하게 적시고 수분을 채워주면서 눈을 피곤하지 않게한다.
안구건조증용 인공눈물은 반드시 일회용이어야 한다.
안약을 계속 쓴다고 눈이 나빠지는건 아니지만 눈 상태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