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직을 준비하거나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지금 하고 있는 능력을 키우거나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자기계발을 위해 퇴근 후 학원에 가고 있다. 그러나 학원에 등록할 경우 돈을 따로 내면서 다녀야 한다. 이에 국가가 금전적인 지원을 해주는 정책들이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내일배움카드는 재직자도 온라인 강의를 들을 수 있어 유행이 되고 있다. 내일배움카드를 이용해서 학습 가능한 과목을 알아보자.
▲(출처=ⓒGettyImagesBank)한국어교원과 국어교사 차이점
한국어교원 뜻은 한국어를 잘 못하는 외국인과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한국어 공부를 도와주는 사람이다. 한국어교원 직종은 한국어를 알려주는 곳에 따라서 한국어교원을 비롯해 한국어강사, 한국어교육지도사로 나뉜다. 하지만 해당 직업을 가지려면 공통적으로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반드시 따야 한다. 임용고시를 보지 않아도 되고 학교 선생님과 차이가 있다. 한국어교원은 대학교 부설 어학원이나 평생교육원과 같은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쳐주고 다른 나라에 있는 한국어교육기관이나 그 나라에 있는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쳐줄수도 있다.
사회복지사 매년 인기 많은 이유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기관에 취직할 수 있다. △상담시설 △청소년시설 △장애인시설 등 특수 시설에서 일할 수 있으며 병원아니 학교와 같은 장소에서도 취업할 수 있다. 보통 20대에서 30대는 상담시설 위주로 취업을 하며 40대가 되면 여성, 가정, 상담 시설 등의 복지 시설에 취직을 한다. 사회복지사는 정년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최근 30대 여성들도 사회복지사가 되는 추세다.
고령화시대 직업상담사의 역할
직업상담사는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자격증도 등장했다. '평생직장'에서 이제는 '평생직업'을 원하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취업 문제가 현대사회의 숙제로 변화해서다. 따라서 직업상담사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해졌다. 직업상담사는 구인구직을 비롯해 취업상담 등의 다양한 상담을 해주며 적성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또한 노동, 직업 시장과 관련된 직업정보를 수집하며 분석하고 구직자들에게 제공한다. 직업상담사 자격증을 따면 여성인력개발센터에 가거나 취업지원센터에 갈 수 있다.
관광통역안내사
는 한국에 관광을 온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을 떠날 때까지 외국어를 사용해 역사를 가르치고 문화를 알려주는 직업이다. 입국했을때부터 출국할 때 까지 외국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물론 여행이 진행되는 일정에 대해서 도움과 편의를 줘야한다. 관광통역 외에도 가끔 산업 목적의 통역을 하는데 해외 바이어나 산업시찰단에게 외국어로 홍보를 해서 산업 발전을 돕는 것이다. 가 될 경우 △통역사 △의료코디네이터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