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한 병이 되버린 지방간은 지방이 간에 축적된 것이다
보통 지방이 축적되는 양은 5% 이내라고 하는데 거기서 넘어가면 지방간이 된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함께 술담배가 기호식품이 되면서 더이상 지방간은 먼 개념이 아니게 됐다.
간 이상은 건강검진으로만 발견되므로 시기를 놓치게 되면 간 경화와 간암 등 간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 지방간의 양상 및 지방간 예방 가이드를 알아보자.
지방간은 알코올성과 비알코올성이 있다.
알코올성을 먼저 보면 과한 음주를 원인으로 꼽는다.
혈중 알코올 농도가 높아지면 간에서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에너지 대사에 이상이 생긴다.
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과 당뇨, 고지혈증, 약물 등 여러가지 이유가 존재하고 있다.
간에 지방이 생기면 피로감이 느껴지고 오른쪽 배가 아플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건강검진을 통해 알게 되니까 간에 있는 지방의 양을 뒤늦게 아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없어서 멀쩡해보여도 피검사를 하고 난 이후 간 수치가 높게 나오는 것이다.
더불어 간수치가 높아 초음파 검사를 추가적으로 했을 때 지방간을 확정받게 된다.
지방간이 초음파로 발견되면 정상 간과 비교했을 때 하얗고 혈관 구조물이 보이지 않는다.
지방간을 극복하는 방법은 간에 지방이 끼지 않게 예방을 해주는 것이다.
우선 금주같은 경우 알코올성 지방간이 생기지 않게 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 때문에 손상이 발생하는 첫 단계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간이 발생했을 때 술을 안마시면 간의 손상을 막고 상한 간이 재생된다.
술을 한번에 끊을 수 없는 경우 술을 적게 마셔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알코올성은 금주를 6개월 동안 해도 지방간 완치가 가능하다.
한편 비알코올성 같은 경우 건강한 식생활과 함께 규칙적으로 운동해서 살이 찌지 않도록 해야한다.
만약 비만이라면 지방이 많이 분해되기 때문에 간에 공급되는 지방산이 많아진다.
혹시 지방간 예방법으로 지방간을 예방하더라도 증상이 안사라지면 약물 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오트밀은 간세포막을 만드는 레시틴을 만들어준다.
그러므로 오트밀을 먹으면 우리 몸 속의 독소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사과는 여러가지 비타민이 있고 식이섬유도 많이 들어있어서 콜레스테롤 제거 효능이 있다.
그 중에서도 껍질에 지방간을 낮추는 효능이 있어 사과 섭취 시 꼼꼼하게 세척해서 껍질채 먹어야 한다.
또 자몽은 여러가지 비타민이 들어있어 간 손상 예방 효능이 있다.
또한 자몽에 있는 클루타티온 단백질은 간 정화를 위한 해독 작용을 한다.
한편 블루베리를 보면 체내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해 면역력을 높여주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있어서 우리 몸의 조직을 지켜준다.
.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