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의 꿈을 가지고 있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제자금'을 효율적으로…자격요건 및 절차까지

유혜영 / 기사승인 : 2019-10-12 10:05:53
  • -
  • +
  • 인쇄
▲(출처=ⓒGettyImagesBank)

원래 중소기업이라는 것이 복지나 연봉 등이 대기업 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해서 자기 회사가 중소기업이면 나만의 집을 위해 돈을 모은다. 다만 많은 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는 젊은이들이 명심해 둬야할 것이 바로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이라는 제도다. 이것은 주로 은행에서 시행되지만 각종 정부 쪽에서 보증을 해줘 1.2%라는 낮은 금리가 가능한 것이다. 그런 이유로 본인이 중소기업에 출퇴근 중이라면 한 번 관심을 가져봐야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이라는 것은 보증을 정부가 하기 때문에 1.2%라는 금리를 자랑하는 만큼 다양한 조건에 맞아야 전세금 대출 가능하다. 또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이 다른 방법의 대출을 받기엔 다양한 조건 때문에 어려운 경우가 있고 중소기업이라 아직 소득도 적어서 이런 대출의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청년전세자금대출을 신청하려면 대출이 가능한 자격과 필요한 서류들, 이용기간, 한도, 금리 등은 뭐가 있을까? 잘 알아보고 내집 마련의 꿈을 이뤄보자.


▲(출처=ⓒGettyImagesBank)
쉽게 집 장만 가능...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조건은?

본인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다면 먼저 나이는 만 34세 이하여야 하고 연소득이 3,500만원 이하인 청년이면 된다. 이 모든 것들이 맞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신청이 가능 하다. 여기에 만약 군복무를 마친 남성이라면 나이가 만 39세면 신청할 수 있다. 여기에 맞벌이 부부는 총 소득이 5,000만원 이하일 경우 가능한데 홀로 살고 있어도, 맞벌이 부부도 85㎡이하 임차 전용면적이면 된다. 이러한 청년 전세자금은 심사로 가능한 대출한도가 책정되는데 대출은 임차보증금의 80%안에서 1억원이 최대로 초과가 불가능하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지원 시 필요한 서류는?

이런 중소기업 청년 전세 자금 대출을 승인받으려면 몇종류의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다. 필요한 서류를 먼저 준비해서 은행에 가야 쉽게 일을 처리 할 수 있다. 첫 째로 자신이 중소기업에 출퇴근 중이라면 회사에 요청할 수 있는 서류는 원천징수영수증, 사업자등록증, 근로소득, 주업코드 확인자료와 재직증명서가 그것이다. 또한 직접준비할 서류는 본인의 주민등록이나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등이다. 이어 있어야 할 서류로는 부동산에 요청할 것으로 등기부 등본 및 건축물대장, 임대차계약서 원본, 계약금 영수증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은 중소기업일 경우에만 가능하니 이 많은 서류를 준비하기 전에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자기 회사가 중소기업이 맞는지 먼저 확인해야 한다.


서류가 다 됐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절차 알아보자

서류가 다 준비 됐다면 은행 대출은 가능한지 한도는 얼마인지 확인을 한다. 그 다음 집을 알아보는데 집이 마음에 들면 집 계약서의 계약금 5%를 내고 그 계약서 안에는 임대인이 임차인의 전세자금대출에 같이 한다는 내용과 대출 승인 실패 시 계약금을 조건 없이 반환하겠다는 내용을 꼭 작성해야 한다. 이후 임대차 계약서에도장과 확정일자를 정하고 은행 심사를 기다리면 된다. 이 심사는 2주면 된다. 또한 대출 가능 기간은 2년으로 4회까지 연장 가능하며 길게 보면 10년까지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