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잃어서는 안된다는 건강은 귀중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기에 질병을 진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건강검진을 통해 체크하는 것이다.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강검진은 국가건강검진이다.
국가검진은 최소 2년에 한 번씩 공짜로 받을 수 있는 공공혜택이다.
2019년부터는 국가검진 대상자가 확대됐다.
금년부터 개선된 국가검진에 대해 확실하게 알아보자.
연초부터 개정 적용된 '건강검진 실시기준'에 근거해 국가검진을 받는 연령이 40세이상에서 19세이상으로 늘어났다.
지금까지는 20~30대의 청년들은 의료보험을 가입한 세대주만 국가검진을 받을 수 있는 사람으로 포함됐었다.
이로 인해 대상자가 아니었던 40세 미만의 청년들은 국가검진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해당됐었다.
그러나 2019년부터 직장가입자 뿐만 아니라 피부양자로 속한 사람 및 지역가입자의 세대원으로 속한 사람까지 국가검진 대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지역가입자의 세대원 250만여 명과 직장가입자 피부양자 460만여 명, 의료급여수급권자 약 11만 명 등 720만 명의 40세 이하의 20~30대 청년들도 새롭게 국가검진 대상자에 들어갔다.
2019년에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은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홀수년도 출생자로 추가 부담 없이 무료로 일반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대상이 증가한 국가건강검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대상자를 확정한 뒤 건강검진표를 부친다.
이에 따라 국가검진 대상자는 신청하지 않아도 된다.
직장 국민건강보험 가입자는 사업장에 통보된다.
이 서류를 수령한 건강검진 대상자는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에서 건강검진을 실시할 수 있다.
검진을 한 검진기관은 검사가 끝나고 검진 결과를 알려준다.
만약 건강검진 결과를 통해 의심 증상이 있다면 건강검진 결과표와 함께 신분증을 지참하고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을 방문하면 확진검사 및 진료를 받을 수 있다.
국가검진에서는 다양한 항목을 검진받게 된다.
체중 그리고 신장,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등을 통해서 비만도를 진단한다.
청력 및 시력검사로 시각과 청각의 이상 여부를 확인 받는다.
혈압검사에서는 고혈압, 혈청크레아티닌과 신사구체여과율, 요단백 등을 통해 신장질환 여부를 검사 받을 수 있다.
또한 혈색소 검사로 빈혈, 공복혈당으로는 당뇨병의 여부를 검사 받는다.
X-선 검사를 통해서는 폐결핵과 흉부질환 여부를 진단 받을 수 있다.
만 24세 이상 남성, 만 40세 이상 여성은 4년에 한번씩 혈액검사로 이상지질혈증을 검사 받고 그밖에도 연령과 나이에 따라 여러가지 검사항목을 별도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근래에 증가하고 있는 정신건강(우울증) 검사까지 가능하다.
기존에는 40~70대만 우울증 검사를 시행했다.
그렇지만 만 20세와 만30세도 우울증 관련 정신건강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40대 미만의 젊은 세대의 사망 이유 가운데 1위가 자살이니 만큼 청년들의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막중해졌다.
그런 이유로 우울증검사 확대로 40대 미만의 젊은 세대의 우울증 여부를 조기에 진단해 치료가 가능할 것이 예상된다.
.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