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프라이데이는 미국에서 이뤄지는 세일기간 중에서도 제일 큰 대목이다
크리스마스 선물 구입이 많아지는 무렵이며, 최근 한국에서도 많은 구매량을 이끌어내고 있다.
해외직구를 통해 싼 값으로 해당 제품을 손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블랙프라이데이도 관심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의 몸집이 갈수록 늘려지면서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를 더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는 미국 추수감사절 이후부터 열리는 대형 세일 행사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라 이름 붙여진 이유는 파격적 할인 행사로 급승한 판매로 인해 거래내용을 적은 종이에 매출 기록이 흑색 잉크로 인해 빼곡하게 찍힌다는 것에서 시작됐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 기간은 11월 4째주인 미국의 전통인 추수감사절 다음날인 금요일이다.
이에 따라 2019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 날짜는 11월 29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 날짜 전부터 예약 및 할인이 시작할 수 있으니 미리 알아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 세일을 이용해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선 해외직구에 사용되는 것이 있다.
해외직구에 필요한 것은 우선, 해외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다.
해외직구를 하기 전 해당하는 해외결제 기능이 차단돼 있거나 신청돼 있는지 사전에 체크하는 것이 좋다.
두 번째론, 개인통관고유번호다.
이는 관세청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공인인증서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해 발급 가능하다.
이외에도 한국으로 직배송 되지 않거나 배송비가 심하게 비싼 경우 배송대행지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주의해야할 점은, 제품의 무게와 관부세다.
여기서 말하는 여기서 관부가세란 상품에 매겨지는 관세와 부가세다.
관세는 국가가 국가 재정의 수입을 위해 수입되는 화물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다.
부가세는 특정 상품 수입에 대해 관세가 추가적으로 더 붙는다.
해외사이트를 통해 구입하면 더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다고 많이 생각하지만 앞서 말한 관부가세나 배송비 때문에 기존의 국내 가격보다 값비싸게 구입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관세를 내지 않기 위해서는 입항날짜를 체크해야 한다.
주문날짜가 달라도 입항날짜가 같으면 합산과세를 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 반입할 수 없는 품목 역시 알아둬야 한다.
만약 수입금지품목이라면 처분돼 받을 수 없고 추가적인 수수료를 내야 하니 직구 전 수입 금지 품목을 알아두고 구입을 진행해야 한다.
해외에서 물건이 오기 때문에 배송기간이 다소 긴 편이다.
오랜 배송 과정에서 사기가 의심되거나 연락두절, 미배송, 결제금액 상이 등의 피해가 생길 수 있다.
사기피해를 입었을 때 신용카드 차지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용카드 차지백 서비스는 불이익이 생겼을 때 카드회사에 직접 승인된 거래를 취소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
신용카드사 차지백 서비스를 이용할 땐, 주문내역, 사업자와 주고받은 연락 등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구비해야 한다.
또는 소비자 상담센터나 국제거래 소비자 포털을 활용해 해외 직구 피해구제를 진행할 수 있다.
.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