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GettyImagesBank)
6살 이하의 영유아 자녀가 있는 부모라면 ‘수족구병’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성인보다 면역력이 취약한 영유아들은 청결하지 않은 생활 도구를 많이 만지게 되면 각종 바이러스 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수족구병'이 그 중 하나로 최근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수족구병은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게 주로 발생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성인들도 안심하지 못할 만큼의 강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의하면 올해 수족구 환자가 작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6세 이하의 어린 자녀가 있는 사람들은 수족구병에 대한 경각심을 길러야 한다. 이에 영유아들에게 주로 발병하는 수족구병에 대해 살펴보자.
아이에게 찾아온 불청객, '수족구병'
'수족구병'은 일반적으로 소아에게 많이 발생되는 감염병이다. 10세 미만의 아이들에게서 수족구병이 찾아오는데, 그 중에서도 5살 미만 아이들의 경우 손으로 집는 물건을 습관적으로 입에 넣으려하기 때문에 이 병에 유독 취약하다. 수족구병의 바이러스는 아이들의 손과 입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간다. 이 바이러스로 인해 한 사람에게 감염이 시작되면 짧은 시간 내로 다른 가족들까지 모두 옮길 만큼 전염성이 강력하다. 또, 기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족구병은 기온이 1도씩 상승하면 수족구병의 발생률도 높아지게 된다. 이는 온도가 오르면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온 상승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여름철이나 이른 가을에는 수족구병에 걸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구내염과 헷갈릴 수 있는 '수족구병 증상'
수족구병에 감염되면 4~6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일반적인 수족구병의 초기증상으로는 ▲발열 ▲피부발진 ▲인후통 ▲피로감 ▲식욕부진 등이 있다. 발열이 나타난 이후에는 손과 발에 조그마한 붉은 발진과 수포를 형성하고 입 속에도 물집과 궤양 등이 발생된다. 때문에 이러한 증상을 구내염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수족구는 발병 후 첫 주동안은 막강한 전염성을 가질 때다. 감염자의 침, 콧물 등 호흡기를 통해서는 1개월 안에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고, 대변을 통해서는 수 주 혹은 수 개월 동안에도 전염될 수 있다. 수족구병은 대부분 증상 발생 후 7~10일 이내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드물게 일부 영유아들에게서는 뇌수막염이나 뇌염 등의 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손·발의 수포성 발진 등 수족구병 의심 증상이 있다면 곧바로 의사를 진료를 받은 뒤 외출을 자제해야 한다.
수족구병 예방, '오염된 물건은 바로 세척!'
'수족구병은 현재 예방 백신이 없어 평소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 평소 우리 아이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세척하고,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와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우리 아이가 수족구병에 감염됐다면 입안의 수포 때문에 통증이 생겨 음식 섭취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해 탈수를 예방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체온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고 입의 물집이 나을 때까지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등원시키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