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보험 및 연금보험 잘 쓰는 법은?…고령화사회 제대로 준비하자

유현경 / 기사승인 : 2019-09-28 05:29:24
  • -
  • +
  • 인쇄
▲(출처=ⓒ픽사베이)

'100세 시대'가 되면서 대한민국이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하지만 명예퇴직을 시행하면서 미래에 대한 대비가 중요해졌다. 그러나 어떻게 하는지 아는 사람은 적다.


연금보험 자격

연금보험은 종신 혹은 정해진 기간 동안 매년 일정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넓은 뜻으로 보험사고가 원인이 돼 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반면 좁게 보면 공무원연금이 된다. 의료보험·산재보험·고용보험에 이어 '4대보험'으로 불린다. 도입된 년도는 1994년이다.

개인연금 가입 대상은 만 20세 이상이어야 한다. 저축 기간은 10년 이상이어야 한다. 납입한 금액은 만 55세가 되고 나서 △확정연금 △종신연금 등으로 받는다. 연금보험은 여러 가지가 있다. 퇴직일시금, 퇴직수당 등이 있다.


연금보험 vs 연금저축보험

연금상품은 두 가지가 있다. 연금저축보험은 연말정산을 돕는다. 매년 최대 66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연금을 받는 나이는 만 55세다. 연금저축보험을 들면 좋은 사람은 연금저축 미가입자와 직장인이다. 한편 연금보험은 연금수령에 좋다. 또 연금 수령은 만 45세부터다.


연금보험은 연금저축보험 가입자나 연말정산 미대상자에게 좋다. 특히 주부나 학생은 연금보험이 더 유리하다. 최근 인터넷으로 가입 가능한 인터넷 보험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연금보험 어떻게 정할까



연금보험 납입액의 기준은 없다. 단 최소 금액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매월 얼마를 납입할건지 자신의 형편에 맞춰 정해야 한다. 이후 나중에 받는 연금을 계산을 해보는 것이 좋다. 보험사 홈페이지를 가면 나중에 받는 연금을 서비스를 사용 가능하다. 계산을 하는

따라서 나중에 받는 연금을 계산할때, 먼저 얼마를 낼지 생각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후 '몇년 동안 모을 것인지' 생각해보자. 이후 연금 받을 시기를 생각하고 나서 연금보험 상품을 골라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