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민들레를 하얀 씨가 매력인 꽃이라고 바라보고 있지만 민들레는 노폐물 제거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은 민들레를 '포공영'이라고 불렀으며 열독을 풀고 악창을 식히며 체기를 내리는 데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쓰여있다고 한다. 현대 사회에 와서 노폐물 제거가 TV프로그램에서 밝혀지면서 간암 초기증상 예방법으로 사랑받는 중이다. 민들레의 효능 및 여러가지 민들레 요리를 통해 먹는 방법을 정리했다.
'천연 해독제' 민들레
민들레에 들어있는 실리마린은 간을 건강하게 만들며 간 세포를 재생하게 한다. 실리마린은 잎과 줄기에 제일 많이 있으며 뿌리도 많이 들어있다. 또 민들레에 함유된 콜린 성분은 간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고 담즙 분비를 통해 지방을 분해하는 효능이 있다. 그러므로 민들레를 먹는다면 얼굴이 누렇게 뜨는 황달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민들레만 섭취하면 효과가 크지 않고 기타 한약재와 같이 먹는 것이 좋다. 또한 초기에는 바로 가라앉지만 간 수치가 원래 높은 사람이라면 의사와 상담을 하고 난 다음 먹는 것이 좋다. 민들레는 식이섬유의 일종인 이눌린이 함유돼 있어 혈당 강화에도 좋다. 또한 소염작용이 있어서 위장을 더욱 건강하게 한다.
과민성대장증후군 부르는 민들레
민들레는 차가운 성질이다. 따라서 만성위염이 있는 사람이 민들레를 먹을 경우 오히려 위 건강이 나빠지게 된다. 또 민들레의 성분 중에 이눌린 성분은 장 속 유익균 배양 효능이 있지만 위장이 찬 사람이 오랫동안 먹으면 위장의 점막을 해쳐서 장에서 가스를 생성하고 속을 더부룩하게 한다. 피부가 약한 사람 혹은 민들레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도 민들레를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민들레가 맞지 않았을 때 생기는 증상은 몸에 생기는 두드러기다. 데이지나 국화, 금잔화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민들레 알레르기도 있을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또한 칼륨이 있는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다면 민들레에 함유된 칼륨이 콩팥을 상하게 하고 심장 기능을 떨어트린다. 또 민들레에 함유된 성분은 항생제의 효과를 방해하게 된다.
민들레 분말 먹을 때 조심
우리가 보통 민들레를 먹으면 건조한 다음 미온수에 우려낸다. 또한 최근에는 민들레뿌리로 차를 만들기도 했다. 민들레는 그 외에도 다양한 요리법을 통해 먹을 수 있다. 우선 민들레의 잎을 양념장에 무친 다음 나물처럼 먹을 수 있다. 또한 민들레잎은 국거리로도 좋고 장아찌로 담가 먹는 것도 어울린다. 여러 가지 김치가 등장하면서 민들레 잎을 써서 '민들레 김치'가 등장하기도 했다. 혹시 만들레를 오랫동안 먹고 싶다면 민들레 담금주를 먹는 방법도 있다. 병에 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넣고 소주를 붓고 한 달 기다리면 민들레 술이 만들어진다. 민들레술을 담글 때 설탕을 한 두 스푼 넣으면 민들레술의 향과 맛이 살아나게 된다. 한편 민들레 가루도 출시됐지만 맛이 매우 써서 단 것과 같이 먹어야 한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