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김태현 기자] 노후 저층주거지를 모아 블록단위로 공동 개발하는 ‘모아타운 모아주택’이 올해 정책 도입 이후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활성화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초 ‘모아타운 모아주택’ 도입 계획을 발표한 이후 지난 8개월간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설립 인가를 받은 사업지가 총 42개소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6개소)보다 약 61% 늘어난 수치로, 공급세대수(계획)를 기준으로 하면 같은 기간 3561세대에서 6694세대로 86% 증가한 것이다.
![]() |
▲ 서울시의 소규모 도시정비사업 계획인 모아타운의 시범사업지(강북구 번동) 조감도. [사진=서울시] |
‘모아주택’은 이웃한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소규모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단위로 양질의 주택을 공동 개발하는 정비모델로, 대지면적 1500㎡ 이상 확보하면 추진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올해 초 모아타운·모아주택 도입 발표 당시 목표치로 제시했던 ‘2026년까지 3만세대 주택공급’을 초과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추진단계를 밟고 있는 모아타운 대상지 38곳이 순항하고 있고, 올해 하반기 실시한 추가공모에는 첫 공모보다 많은 19개 자치구 39곳이 신청해 이달 말 대상지가 선정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모아주택) 활성화를 위해 모아타운‧모아주택의 개념과 관리지침을 마련하고, 층수제한 폐지 등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위한 각종 기준을 완화한 것이 사업 활성화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앞으로도 모아타운‧모아주택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하는 동시에 주거약자와의 동행을 최우선 순위 과제로 삼아 정책을 추진하고, 투기수요 차단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과 더불어 양질의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모아타운 추진 시 주거약자와의 동행 차원에서 주거취약지역이 우선 정비될 수 있도록 하고 투기수요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