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탄소중립 실현 위한 ‘탄소공간지도’ 구축

김태현 기자 / 기사승인 : 2022-09-21 18:38:56
  • -
  • +
  • 인쇄
표준모델·정책활용 방안 마련 용역 착수
오는 2023년 상반기 서비스 개시 예정

[하비엔=김태현 기자] 국토교통부는 도시와 지역의 공간 단위에서 종합적인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탄소공간지도’를 구축한다고 21일 밝혔다.

 

국토부는 21일 도시정책관 주재로 도시와 환경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정책간담회를 열고 탄소공간지도 구축·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 탄소공간지도 주요 해외 사례. [자료=국토부]

 

탄소공간지도는 탄소의 배출·흡수량 정보를 도시·지역의 공간 단위를 기반으로 시각화·지도화 한 것으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 수립과 탄소중립도시 조성 등에 활용된다.

 

미국·영국·일본 등 해외에서는 지난 2000년대 초부터 탄소공간지도를 제작해 공간 계획 수립에 활용하고 있고, 특히 일본은 도시구조·교통정책 실시에 따른 탄소 감축 효과를 간편하게 진단·평가하는 공간 분석도구(CREST)를 개발해 활용하고 있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탄소공간지도 표준모델을 구축하고 정책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용역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빠르면 내년 상반기 중 탄소공간지도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표준 모델은 건물·수송 부문의 에너지 정보로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구축하고, 도시 내 공원, 녹지, 유원지 등 토지용도별 공간정보 데이터로 탄소 흡수량을 산정해 마련된다. 또 축적된 데이터는 기존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KLIP)의 도시계획 현황 정보와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의 공간별 인구·교통정보 등 정보와 연계해 정책에 활용된다.

 

국토부는 또 탄소공간지도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R&D)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탄소배출 정보의 수집·활용 범위를 점(건물) 단위에서 선(도로·철도)·면(정주지·녹지) 등의 단위로 확대하고, 도시 공간구조 변화에 따라 탄소배출량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길병우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탄소공간지도는 탄소 배출원 중심의 부문별 접근 한계를 탈피하고 지역·도시 등 공간 단위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을 수립하도록 해 전 국토의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