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회장, 포항행사 돌연 불참…시민 ‘비난’
[하비엔=홍세기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자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포스코는 국민기업이 아니며, ‘국민기업’은 극복할 프레임이다”라는 내용을 받은 이메일을 보내 반발을 사고 있다. 또 최정우 회장은 경북 포항에서 열린 주요 행사에 참석하기로 했다가 돌연 불참해 시민들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다.
11일 포스코 노조 등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6일 포스코 임직원들에게 ‘포스코그룹 정체성’을 주제로 사내 메일을 보냈다.
![]() |
▲ 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연합뉴스] |
포스코홀딩스는 사내 메일을 통해 “포스코는 지난 2000년 산업은행이 보유하던 2.4%의 지분을 매각함에 따라 완전한 민간기업이 됐다”며 “민영화된지 20년 이상이 지났지만 여전히 국민기업이라는 애매모호한 개념으로 회사 정체성이 왜곡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포스코그룹이 국민기업이라는 주장은 현실과 맞지 않으며, 미래발전을 위해서도 극복돼야 할 프레임이다”라고 덧붙였다.
포스코는 또 앞서 민영화된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 대한석유공사(현 SK이노베이션),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 등을 예로 들며 ‘대일청구권’으로 포항제철소 1~2호기를 건설한 것에 대해서도 국민기업과는 선을 그어 논란이 일으키고 있다.
실제로 포스코 설립 초기 무상 대일청구권 자금 일부가 포항제철소 1·2호 건설에 사용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스코는 사용된 자금이 지난 1971년~1973년 자본금으로 전환됐고, 민영화 과정에서 정부의 보유지분 매각으로 환수됐다고 설명했다. 또 제철소 건설에 사용된 유상 청구권자금은 지난 1996년까지 원금과 이자 상환을 완료했는 것이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포스코는 국민기업이 아니라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의 국가대표기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스코홀딩스의 이같은 입장 표명에 대해 일부 직원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포스코 노조 관계자는 “포스코 홀딩스의 논리대로라면 외국지분율이 51.3%가 넘으니 포스코는 외국회사이지 않냐”며 반문했다.
논란이 커지자 포스코 측은 “회사 현황 설명 과정에서 생긴 오해다”라며 “포스코가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 대표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 배포한 자료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해 12월1일 지주사인 홀딩스 전환을 추진한다고 발표하면서 올해 1월28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지주사 전환 절차를 밟아 왔다. 포스코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서울에 두고, 산하에 포스코와 포스코 케미컬 등 각종 자회사를 두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지주사의 서울 이전에 따른 투자 축소와 인력 유출, 세수 감소를 우려한 포항시와 시민들이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포스코는 지난 2월25일 지주사 소재지를 포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포항시와 합의했다.
최근 작성된 합의문은 그러나 포스코그룹 최고 결정권자인 최정우 회장의 서명이 빠진 채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과 전중선 포스코 사장 서명해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최근 포항에서 열린 포스코 주요 행사에 최정우 회장이 참석하지 않아 포항시민들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