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연구원-지장협, ‘교통약자 맞춤형 모빌리티 서비스 위한 토론회’ 개최

문기환 / 기사승인 : 2022-12-09 15:21:04
  • -
  • +
  • 인쇄

[하비엔=문기환 기자] 한국교통연구원은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한국지체장애인협회(이하 지장협)와 자율주행 기반 교통약자 맞춤형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민의힘 이종성·조명희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지체장애인협회와 한국교통연구원이 공동 주관했다. 

 

▲ 지난 7일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자율주행 기반 교통약자 맞춤형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종성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자율주행 모빌리티 도입은 기술의 가치를 높이며 개발의 이유와 타당성을 제시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자율주행기술이 가져올 모빌리티 서비스 정책지원 뿐만 아니라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에 대한 중요성과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광환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중앙회장은 “이동의 어려움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교육과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박탈하고, 비장애인과 공정한 경쟁도 하지 못하게 돼 결국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가로막는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 교통약자 특성을 반영한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를 알아보고 나아가야 할 미래를 전망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문가 주제발표 시간에서는 박태윤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본부 부연구위원이 ‘자율주행기반 교통약자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 전략’을 주제로 관련기술 개발 및 서비스 구현 제약사항을 진단했다.


박태윤 부연구위원은 “후면 승차방식 차량은 보도 연석이 있는 곳에선 휠체어 탑승이 불가능해 측면탑승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며 “휠체어의 안정적 승하차를 위한 차내 여유공간 확보와 차체 개조에 따른 자기인증 절차가 동시에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박종현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조직편의국장은 ‘교통약자 맞춤형 모빌리티 기술개발을 통한 이동권 향상’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최근 5년 새 국내 인구는 0.11% 소폭 줄어든 반면, 장애인과 고령자, 임산부, 어린이, 영유아 동반자 등 교통약자는 5.42% 되레 늘었다”며 “이에 맞춰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도 정부의 적극 지원 아래 자율주행기반 특별교통수단 상용화 및 확충을 위한 법과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주제발표 이후에는 이창운 인프라경제연구원 원장을 좌장으로 한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 패널로는 박진호 국토부 첨단자동차 과장, 문상희 보건복지부 권익지원과 사무관, 이수진 서울시 미래첨단교통과장, 박경아 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본부장 등이 참여했다.


한국교통연구원 및 지장협 관계자는 “정부에서도 ‘따뜻한 동행, 모두가 행복한 사회’라는 국정목표의 일환으로 장애인 맞춤형 통합지원을 통한 차별없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장애인 이동권 강화를 추진 중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