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KT가 올해 3분기 B2C와 B2B 분야에서 안정적 성장과 함께 그룹 핵심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실적을 거뒀다. KT는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다방면에서 혁신을 추진하고,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프로그램)를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KT는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4.2% 늘어난 4641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 |
KT. |
KT그룹의 전체 매출은 6조65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했고, 별도 서비스 매출은 4조6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직전 분기 대비 0.5% 증가해 3분기 연속 4조원을 넘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무선 사업은 3분기 플래그십 단말 출시 영향으로 5G 가입자 비중이 전체 핸드셋 가입자 가운데 76%를 기록했다. 무선서비스 매출은 로밍 사업과 알뜰폰 시장의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성장했다.
유선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3% 감소했고, 미디어 사업은 IPTV 가입자 수가 증가했지만 유료 콘텐츠 구매와 광고 매출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2% 하락했다. 또 기업서비스 사업은 전용회선, AI컨택센터(AICC) 사업 등 성장세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5% 늘었다.
KT그룹은 금융·부동산·디지털 전환(DX) 등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꾸준한 실적 개선을 이어갔다.
케이뱅크는 3분기 고객수가 1200만명을 돌파해 수신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4% 늘어난 22조원, 여신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4% 증가한 16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매출이 고르게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3.6% 증가했다. 특히 호텔 부문은 여름휴가 기간에 맞춘 특색있는 패키지 판매로 매출이 꾸준히 늘어나며 성장을 견인했다.
KT 콘텐츠 자회사는 콘텐츠 시장 축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지만, 3분기 방영한 드라마 <유어아너>와 <나의 해리에게>가 연속 흥행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였다.
kt cloud는 주요 사업 부문의 성장과 지속적인 고객기반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6.8% 증가했다. IDC 사업은 내년 준공 예정인 가산 DC 등 DBO(디자인·빌드·오퍼레이트) 사업의 매출화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장민 KT CFO(전무)는 “KT그룹은 앞으로 M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AICT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며 “아울러 기업가치를 한 단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