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 회장, 지주회사 전환 “왜”…중대재해처벌 등 ‘책임 회피’ 논란

홍세기 기자 / 기사승인 : 2022-10-05 12:10:15
  • -
  • +
  • 인쇄
이수진 의원, 최정우 회장 환노위 국감 증인 소환 요구 ‘불발’

[하비엔=홍세기 기자]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지주회사 전환을 추진한 배경이 중대재해처벌법 등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에만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수 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은 수해 때도 작업자들이 부상을 당했다. 하지만 최 회장은 이에 따른 책임을 짊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2018년 이후 2021년 초까지 사업장 내 사망사고만 20여건에 달하고, 일반 산재 사고도 113건이나 발생했다. 

 

▲ 지난 4일 열린 행정안전부·인사혁신처·공무원연금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주회사 전환을 앞두고 노조는 포스코가 자회사로 전락하게 되면 설비투자 감소로 근로자의 안전과 근무환경이 악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노조는 소액주주들과 연대해 반대운동을 펼쳤지만, 이를 막지 못했다. 


당시 한대정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장은 “지주회사 포스코홀딩스 설립은 경영과 투자는 지주회사에서 결정하고, 환경과 안전에 대한 책임은 자회사로 전락한 포스코가 지는 꼴이다”라고 반대 배경을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지주회사 전환이 최 회장의 중대재해처벌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방편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사망사고 외에도 올해 논란이 됐던 포항제철소 내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도 철강회사 포스코 김학동 대표이사만 사과하고 징계를 받았을 뿐, 최정우 회장의 책임있는 모습은 볼 수 없었다. 

 

이와 관련 포스코 측은 “문제가 발생한 사업회사의 대표이사가 책임을 지고 사과의 주체가 되는 것이 맞다”며 최 회장을 옹호했다. 하지만 문제의 성폭력 사건은 포스코가 지주회사로 전환되기 전 최 회장이 포스코 대표 시절에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올해 국정감사를 앞두고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최 회장의 국감 증인 소환을 요구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