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윤대헌 기자] 풀무원식품은 지난해 8월 ‘지구식단’을 론칭한 후 지난 1년간 약 43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풀무원은 지난 2021년 3월 식물성 지향 식품 선도 기업 선언 이후 국내외에서 식물성 대체육 및 식물성 단백질 신제품을 지속 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제품인 식물성 텐더와 두부면 등을 브랜드 론칭에 맞춰 리뉴얼하고, 냉동만두와 볶음밥까지 선보이며 제품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 |
풀무원식품의 지속가능식품 전문 브랜드 ‘지구식단’ 제품. [사진=풀무원] |
지속가능식품 전문 브랜드인 ‘지구식단’은 론칭 1년 만에 품목 수를 약 30% 늘렸다. 특히 올 상반기에 선보인 식물성 런천미트, Silky 두유면, 솥솥 주먹밥, 라이트 브리또 등의 순증을 이끌어내며 사업 및 매출 규모를 키우고 있다.
‘지구식단’ 카테고리에서 가장 다양한 제품이 포진한 식물성 간편식의 올 상반기 매출 성장률은 55.7%(이하 전년 동기 대비)를 기록했다. 풀무원은 일상 식단을 그대로 식물성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는 만두, 밥, 면, 떡 등 다양한 식물성 간편식을 선보이고 있고, 이들 제품은 맛과 식감에 있어 식물성 식단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는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가운데 동물성 대체식품인 직화 불고기의 올 상반기 성장률은 143.3%로 ‘지구식단’ 카테고리 가운데 가장 높다.
‘지구식단’은 해외에서도 호응을 얻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수요가 급등했고, 식물성 런천미트는 지난 5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SIAL 박람회’ 혁신대회에서 입선하는 등 글로벌 무대에서도 입지를 다지고 있다.
식물성 영양식품 가운데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두부면’의 인기가 높다. 이에 풀무원은 올해 두유면을 추가로 출시해 풀무원표 ‘건강면’ 라인업을 더욱 탄탄하게 구축했다.
‘지구식단’의 이같은 호응은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도 주효했다. 유명 맛집과 협업해 이색적인 식물성 메뉴를 선보이는 ‘지구식단 있는 집’, 팝업스토어 ‘지구식단 플랜트바’와 ‘지구식단 캠퍼스’, K-POP 축제 ‘위버스콘 페스티벌 2023’ F&B 부스 참여, 공항 라운지 메뉴화 등이 대표적이다.
김진홍 풀무원식품 대표는 “풀무원 ‘지구식단’은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하고 많은 소비자 접점 활동을 하면서 브랜드 론칭 1년 만에 눈에 띄는 성장을 이뤄냈다”며 “앞으로 ‘지구식단’이 국내 지속가능식품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성장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풀무원식품은 오는 2026년까지 지속가능식품을 식품 전체 매출의 65%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 가운데 지속가능식품의 핵심인 ‘지구식단’을 연 매출 1000억원 규모의 브랜드로 키우는 등 지속가능식품을 리딩하는 브랜드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