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지난해 말 증권사들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또 다시 비상이 걸렸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은 증권사 부동산 PF의 연체율 급등에 따라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상각 확대와 장기대출로의 전환을 유도하기로 했다.
![]() |
지난해 말 증권사들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연체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또다시 비상등이 켜졌다.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 |
금융당국은 또 조만간 증권업계와 간담회를 열어 부실자산 정리와 재무 건전성 유지 차원에서 부동산 PF 관련 단기성 대출을 장기로 전환하라고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최근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의 연체율이 크게 오르고 있다”며 “오는 6월 실적 발표를 앞두고 ABCP에 대한 손실을 털고 대출 전환 등으로 만기를 맞추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일단 금융감독원은 증권사에 대해 부동산 PF 추정손실 채권을 적절히 처리해 신청하는 상각 부분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승인해주겠다는 방침이다. 상각 조치가 빨리 이뤄지면 해당 채권 자체가 손실로 처리돼 연체율 관리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해 말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이 10.4%를 기록해 같은 해 9월 말 8.2%보다 2.2%P 올랐고, 지난 2021년 말 3.71%에 비해 3배가량 급등한 것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 3일 ‘부동산PF 대출 대손상각 관련 유의 사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증권업계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문에는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에 대한 자산 건전성 분류 결과 추정손실로 분류한 부분에 대해 최대한 빨리 대손상각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금융당국은 특히 오는 6월 말 반기 결산에 맞춰 이달 안으로 절차를 진행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금융당국은 또 증권업계에 대해 통상 3개월이 만기인 PF ABCP를 장기성 대출로 전환하는 작업도 추진해 달라며 자체적인 리스크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를 계기로 촉발된 단기자금 시장 경색으로 증권사들이 보증한 부동산 PF ABCP 금리가 폭등해 투자는커녕 차환 발행도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