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박병운 교수 연구팀, 스마트폰 기반 ‘항법 경진대회’ 세계 3위

김혜연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4 09:57:09
  • -
  • +
  • 인쇄

[하비엔뉴스 = 김혜연 기자] 세종대학교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의 박병운 교수 연구팀 윤정현 박사과정 대학원생이 세계적인 IT기업 Google과 국제 위성항법 시스템 학회 Institute of Navigation(ION)이 공동 주최한 ‘Google Smartphone Decimeter Challenge 2023-2024’ 대회에서 세계 3위를 차지했다.


4일 세종대학교에 따르면,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Smartphone Decimeter Challenge’는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폰 기반 항법 경진대회로, 미국, 중국, 일본 등 전 세계 47개국에서 총 322팀의 위성항법 연구자가 참여했다. 

 

 세종대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윤정현(가운데) 연구원과 박병운(오른쪽 세 번째) 교수가 연구팀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세종대학교]

 

대회 시상식은 미국 볼티모어에서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열린 국제 위성항법 시스템 학회 ‘ION GNSS+ 2024’에서 진행됐다. 수상자에게는 5000달러 가량의 상금과 무료 콘퍼런스 등록, 호텔 숙박 등의 특전이 주어졌다.


스마트폰의 위치 정확도는 개방된 도로에서는 5~10미터, 도심지에서는 20~100미터 이상으로 큰 오차가 발생한다. 이번 대회는 이를 1미터 이내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Google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일대의 도로 및 도심 등 다양한 지역에서 취득된 196개의 스마트폰 주행 데이터를 제공했다. 전 세계의 연구진은 이 데이터를 활용해 위치정확도 향상에 도전했다.

박 교수 연구팀은 ‘2단계 속도 추정 기법을 활용한 스마트폰 위치 정확도 향상 기법’을 활용해 대회 목표치인 1미터 이하 오차 수준의 위치 정확도 목표를 달성하며 최종 순위 3위에 올랐다. 

 

또 다른 수상자들과 달리 시간순으로 처리했음에도 초청 발표 세션에서 퀄컴, 브로드컴과 같은 굴지의 세계적인 스마트폰 GNSS 칩셋 제조사의 결과보다도 19%에서 75%까지 정확도가 향상된 결과를 제시해 학회 참가자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그 결과 1, 2위 수상자들을 제치고 ‘ION GNSS+ 2024 Best Presentation Award’를 수상했으며, 이 상을 2회 받은 수상자는 국내에서 윤정현 연구원이 유일하다.

연구팀장이자 발표자인 윤정현 연구원은 “작년에 이어 이번 대회에서도 세계 각국의 뛰어난 연구진들과 경쟁할 수 있었던 것은 잊지 못할 귀중한 경험이었다. 특히 순위에 얽매이지 않고 실제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에 집중한 결과가 동료 연구자들에게 인정받아 2관왕 수상으로 이어진 점이 매우 기쁘다. 연구에 아낌없는 조언과 헌신적인 도움을 주신 박병운 지도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밤낮으로 함께 연구에 도움을 준 연구실 동료들과 이 영광을 나누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연구팀의 지도를 맡은 박 교수는 “위성항법은 손안의 스마트폰에서부터 우주의 발사체와 위성에 이르기까지 사용되지 않는 분야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중요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대회의 성과는 실무 위주의 교육과 연구를 중시하는 연구실 철학의 산물로, 글로벌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과의 시너지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향후 세종대 우주항공시스템공학과 연구팀은 이번 대회를 통해 확보한 위성항법 기술을 현재 수행 중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연구재단 주관의 ‘미래 우주항법 및 위성기술 연구센터’ 사업과 연계해 달에서 활용 가능한 위성항법시스템 연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