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조정현 기자] 현대·기아차 등 32개 차종 43만534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갔다.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기아의 K5 등 2개 차종 21만283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에 따라 지난 22일부터 리콜 중이고, 니로 EV 1986대는 고전압배터리 전원차단장치 제조 불량이 발견돼 지난 24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갔다.
![]() |
현대차 제네시스 GV80. [사진=국토교통부] |
현대차 투싼 등 3개 차종 17만8489대 역시 HECU 내구성 부족으로 오는 30일부터 리콜 조치되고, 제네시스 GV80 등 2개 차종 3142대는 전동 사이드스텝(자동 전개되는 발받침대) 설계 오류로 연료탱크가 손상될 가능성이 발견돼 오는 31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또 테슬라코리아의 모델Y 2만2072대는 등화장치 설치 기준 부적합 판정, 아우디 A3 40 TFSI와 폭스바겐그룹코리아의 5개 차종 5341대는 연료펌프 제조 불량으로 인해 화재 발생 가능성이 지적돼 오는 26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이외 아우디 이트론 55 콰트로 833대는 고전압 배터리 모듈 제조 불량으로 지난 24일부터, 한국토요타자동차의 렉서스 ES300h 등 13개 차종 5559대는 전·후방 카메라 용접 불량, NX350h 등 4개 차종 2829대는 전방 인식 카메라 소프트웨어 오류로 25일부터 리콜된다.
![]() |
지난달 27일 부산모빌리티쇼를 방문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
현대자동차의 리콜 조치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품질경영’ 선언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의 경우 지난달 26일 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G80 등 2개 차종 23만6518대는 엔진 시동용 모터 설계 오류, 맥스크루즈 등 2개 차종 3만7169대는 전자제어 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으로, 싼타페 HEV 1만8397대는 전자식 브레이크 부품 오류로 각각 시정조치됐다.
현대자동차 일렉시티 등 2개 차종 2887대는 인슐레이터(모터 진동 저감하는 장치)의 내구성 부족으로 차가 멈출 가능성이 제기돼 지난 10일부터, GV70 2782대는 엔진점화장치 연결볼트 제조 불량으로 오는 18일부터 각각 시정조치에 들어갔다.
또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현대자동차 미국법인이 제네시스 G70 등 미국에서 판매한 6만7000대(제네시스 G70, 벨로스터 N, 엘란트라 N, 코나 N 2019~2023년형 모델)의 차량을 리콜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2일 NHTSA은 현대자동차 SUV 싼타페에 탑재된 트랜스미션 컨트롤 유닛(TCU)의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2024년식 신형 싼타페 1만2349대를 리콜 조치했다.
현대자동차는 올해 1분기에만 무려 28만대의 자동차를 리콜 조치했고, 올해 발간된 2024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리콜된 차량은 총 548만대로 전년 389만대보다 40.9% 증가했다.
한편 리콜 차량 대상 여부와 구체적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