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송현섭 기자] 미래에셋생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적용할 디지털 글쓰기 지침서 ‘UX(User Experience : 사용자 경험)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가이드라인은 미래에셋생명의 각종 디지털 콘텐츠에 일관된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비대면 환경에서 고객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지침이다.
▲ 미래에셋생명이 디지털 글쓰기 지침서 ‘UX 가이드라인’을 발간한다. [사진=미래에셋생명] |
특히 가독성을 높이고 친근한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으로 표현하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쓰기 ▲간결하게 쓰기 ▲긍정적으로 표현하기 ▲국어표기법 주의하기 ▲목적에 맞는 글쓰기 6대 원칙이 적용됐다.
또 금융권에서 관행적으로 쓰였던 한자용어를 우리말로 순화한 점도 돋보인다. 예컨대, ‘고지’는 ‘안내’로, ‘내방’은 ‘방문’, ‘익일’은 ‘다음 날’ 등으로 고쳤다. 외래어 표기도 순화해 ‘Life Cycle’은 ‘생애주기’, ‘Needs’는 ‘필요나 바람’, ‘Peer Group’의 경우 ‘같은 연령대’ 등으로 바꿨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미래에셋생명에서 운영하는 모든 디지털 플랫폼에 적용되고, 고객이 쓰는 모바일 기기와 PC환경에 맞춰 핵심정보를 앞부분에 놓고 가급적 한 화면(스크롤)에 담는 글쓰기를 제안했다.
김남영 미래에셋생명 디지털혁신부문 대표는 “일방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기존 글쓰기 관행에서 벗어나 전사 차원에서 고객의 구체적 행동을 유도하고 상호작용하는 UX 관점의 글쓰기를 이끌어내기 위해 TF를 구성하는 등 고민을 거듭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