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핸드폰은 이제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됐다. 그런데 이전에는 스마트폰 배터리가 대부분 교체형이라서 손쉽게 교환이 가능했다. 그러나 근래에 살 수 있는 갤럭시 S10·노트10,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 LG V50 등 대부분의 핸드폰들은 일체형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교체하기 힘들다. 또한 배터리를 교환하기 위해 고액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핸드폰 배터리는 소모품이지만 평상시에 간단한 습관만 고쳐도 배터리 수명을 오래 쓸 수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 배터리가 금방 닳는 이유
보통 스마트폰 배터리는 1년의 사용기간이 지나면 충전되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방전으로 인해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스마트폰 배터리가 빠르게 방전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요즘 출시돼 팔리고 있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10, 아이폰XS, LG V 시리즈 등의 최신 핸드폰은 높은 스펙과 사양을 가진 만큼 배터리 소모량이 많다. 배터리 사용량이 큰 만큼 배터리가 빨리 소모된다. 또한 스마트폰 배터리의 방전이 빨라지는 것은 계속되는 핸드폰 사용으로 생기는 자연스러운 상황이지만 잘못된 습관이 이같은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잘못된 습관을 고쳐 스마트폰의 배터리 관리를 제대로 해야 한다. 휴대폰 배터리의 수명을 늘어나게 하는 방법은 제대로된 충전방법에 있다.
휴대폰 배터리 관리 Tip
삼성전자의 갤럭시 S10, 애플의 XS 등 아이폰 시리즈, LG전자 V50 등 고가의 핸드폰을 비롯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에는 대부분 리튬 이온 배터리가 이용되고 있다. 휴대폰용 리튬 이온 배터리는 자연적으로 방전의 거의 되지 않고 무게가 가볍고,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금액이 비싸고 고온에서는 터질 수 있어서 조심해야 한다. 특히 핸드폰에 장착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충전을 지나치게 할 경우에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있을 수 있다. 이 현상이 보이면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고 주변 다른 부품의 고장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충전시 조심해야 한다. 또한 충전이 완료된 휴대폰은 충전케이블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스마트폰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대부분의 휴대폰 배터리는 완전히 방전되어 버리거나 수백 회 이상으로 충전하면 배터리의 성능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그렇기 때문에 스마트폰 충전시에는 배터리가 일정 수준 남아 있어야 한다. 유선 충전은 잔량이 40% 이상, 무선으로 충전할 때는 배터리 잔량이 50% 정도 남아 있을 때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성능 줄이는 폭염과 혹한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을 충전시키면서 이용한다. 그러나 충전 중인 상황에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면 충전과 방전이 동시에 발생한다. 그것 때문에 배터리 상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그래서 배터리를 충전할 때는 가급적 휴대폰을 사용하는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 만약 여러 이유로 사용이 필요할 때는 충전기 사용을 중단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염이나 혹한도 휴대폰 배터리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원인 중 하나다. 더운 날씨는 스마트폰 기기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켜 '열화현상'이 생길 수도 있다. 추운 날씨에는 내부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이 감소하고 방전이 빨라진다. 그밖에도 너무 밝은 화면과 사용하지 않는 앱이나 기능도 배터리가 빨리 줄어들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화면 밝기를 줄이고 쓰지 않는 기능이나 앱은 정리하면 배터리를 좀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