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민들레를 길가에서 볼 수 있는 들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만들레는 다양한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민들레가 '포공영'으로 기록돼있고 소염작용을 하고 체한 것을 없앨 수 있다고 적혀있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는 민들레의 해독 효능이 화제가 되면서 간암 초기증상 예방법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민들레 효능, 부작용과 민들레를 요리하는 방법으로 민들레 먹는법을 알아보자.민들레에 들어있는 실리마린은 간을 건강하게 만들며 간 세포 재생을 빠르게 만든다.
민들레의 실리마린 성분은 꽃보다 잎과 줄기에 특히 많고 뿌리에서도 발견된다.
또 민들레에 함유된 콜린 성분은 지방간을 예방해주며 담즙을 분비함으로 인해 지방을 분해시켜준다.
따라서 민들레를 먹으면 얼굴이 누렇게 뜨는 황달 완화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민들레만 먹을 경우 큰 효과를 볼 수 없고 다른 한약재와 섞어야 한다.
또한 초기에는 바로 가라앉지만 만성적으로 간 수치가 높으면 의사와 상담을 하고 난 다음 먹어야 한다.
민들레 속에는 식이섬유인 이눌린 성분이 풍부해 혈당을 조절하는데도 좋다.
또한 염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어 식도와 위장의 염증을 제거할 수 있다.

흔히 민들레를 꽃잎이나 줄기를 말려서 따뜻한 물에 우려마신다.
또한 민들레 효능이 재조명되면서 민들레뿌리로 차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민들레는 다양한 요리법을 통해 먹을 수 있다.
먼저 민들레의 이파리를 양념장과 잘 섞어서 민들레 나물을 만든다.
또한 민들레잎은 국거리로도 좋고 장아찌 재료로도 잘 어울린다.
김치 담그는 방법이 발달하면서 민들레 잎을 이용해 '민들레 김치'가 등장했다.
만약 오랜 기간동안 먹으려면 민들레 담금주를 만들어보자.
민들레 꽃, 뿌리를 넣어주고 소주를 붓고 한 달 정도 두면 민들레 담금주가 만들어진다.
민들레술을 만들때 설탕, 꿀을 넣어주면 민들레술만의 독특한 향과 맛을 낼 수 있다.
최근 민들레 분말이 출시됐으나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꿀을 넣어 먹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