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근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스트레스가 반복되는 현대인들에게는 ‘고혈압’이라는 불청객이 발생하곤 한다. 최근 고혈압은 중장년층 뿐 아니라, 30대~40대 사이에도 고혈압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나이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모두 고혈압 예방에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젊은층은 평소 생활에서 고혈압을 관리하지 않아 발견이 더디고, 발견이 되더라도 어리다는 이유만으로 치료를 쉽게 방치하곤 한다. 때문에 혈압 수치가 높은 사람이라면 생활습관을 올바르게 개선해 혈압 정상수치로 낮추는 법을 익혀 습관화해야 한다. 이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고혈압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자.
고혈압, '심각한 합병증 동반'
고혈압은 피가 혈관 벽을 너무 세게 미는 것을 의미하는데, 진단 기준이 수축기 혈압이 13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8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정의한다. 최근에는 30~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대 사람들이 고혈압의 원인 요소인 ▲스트레스 ▲음주 ▲흡연 ▲짜게 먹는 식습관 등에 습관화되면서 고혈압 발병이 증가했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들은 고혈압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심각함을 깨닫지 못하고 방심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혈압 합병증이 발생되며, 2차성 고혈압으로 신장질환이나 부신 종양, 일부 선천성 심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방심은 절대 금물이다.
만병의 근원인 '고혈압 예방'
고혈압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혈압 위험 요인을 없애야 한다. 먼저, 흡연하는 습관은 혈관을 좁게하고 탄력을 잃게 만들어 고혈압 발생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금연하는 습관은 필수이다. 또한, 하루 2~3잔을 초과하는 술은 그 자체로 혈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술을 과하게 마시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아울러, 스트레스 또한 고혈압을 일으키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취미활동이나 운동도 고혈압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체중을 조절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과 과도한 나트륨 섭취를 주의해 균형있는 식습관을 갖는 것과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도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