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연례행사인 ‘파운드리 포럼’을 개최한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이 행사를 통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 로드맵을 공개해온 만큼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는 12∼1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삼성 반도체 캠퍼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SAFE 포럼 2024’를 개최한다.
![]() |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이 지난해 6월27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
이번 포럼에서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기술 로드맵과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 강화 전략 등을 발표하고, 이를 파트너사 및 고객과 공유할 계획이다.
특히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파운드리 임원들이 총 출동하고, 최근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을 맡은 전영현 부회장과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사장) 등도 포럼에 참여한다.
최 사장은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에 대응할 삼성전자의 최첨단 파운드리 공정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앞서 지난 2022년 파운드리 포럼에서 2025년에 2나노(㎚·10억분의 1m), 2027년에 1.4나노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를 양산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어 지난해 열린 행사에서는 글로벌 파운드리 1위인 대만 TSMC보다 먼저 업계 최초로 구체적인 2나노 공정 로드맵을 제시했다. 현재 가장 앞선 기술은 TSMC와 삼성전자만 양산하는 3나노다.
그간 파운드리 포럼에서 이뤄진 발표를 감안하면 삼성전자가 이번에도 1.4나노 양산 시점을 앞당기는 식의 ‘깜짝 발표’가 기대된다. 특히 TSMC가 1나노대 양산 일정을 앞당긴 만큼 삼성전자가 이번에 내놓을 1나노대 공정 로드맵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TSMC는 오는 2026년부터 1.6나노 공정을 통한 반도체 생산을 발표했고, 2025년과 2027년부터 각각 양산할 2나노와 1.4나노의 중간에 1.6나노를 추가해 1나노대 진입 시기를 1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파운드리 포럼에는 르네 하스 Arm(암) 최고경영자(CEO), 빌 은 AMD 기업담당 부사장 등 삼성전자와 오랫동안 협력해온 고객사 경영진이 연사로 나선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