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 토크쇼에서 “엔비디아는 2~3년 안에는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AI로 돈을 버는 모델이 현재로선 아직 정확히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칩이 필요하게 되면 지금 엔비디아가 가진 장점이 무너질 가능성도 있지만, 돈을 버는 모델이 계속 잘 나온다면 비싸더라도 반도체 칩을 계속 쓰게 돼 엔비디아의 승승장구가 5년 이상 갈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 |
19일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 토크쇼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오른쪽)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대한상공회의소] |
최 회장은 최근 AI 열풍을 19세기 ‘골드러시’에 비유하며 “지금은 AI라는 금광을 캐러 사람들이 도전하고 있는데, 골드러시 당시 금을 캐서 돈을 벌겠다는 사람보다 ‘청바지’와 ‘곡괭이’를 파는 사람이 먼저 떴다”며 곡괭이 판매와 비슷한 일을 지금 엔비디아가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엔비디아와 비슷하게 저희 전략도 곡괭이를 팔아서 돈을 벌자는 것인데, 금이 안 나오면 곡괭이도 못 판다. 금을 캐야 곡괭이 다음에 불도저, 땅을 뚫는 지게도 팔 수 있다”며 AI 시장에서 네이버의 역할을 언급했다.
이날 토크쇼에 참석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의 AI 사업과 관련해 “어떻게 하면 빅테크와 맞설 수 있는 거대언어모델(LLM)을 만들 수 있느냐에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AI를 비즈니스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 논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최 대표는 “네이버는 한국의 AI 기술 개발을 이끄는 주요 기업으로, 이제 시작 단계인 AI 기술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 투자하고 있다”라며 “자국 언어를 중심으로 초거대 생성형 AI 모델을 맨 처음 단계부터 개발해 서비스 전반 적용까지 나아간 사례는 중국을 제외하고 아시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비영어권 지역에서 ‘AI 기술 리더십 이니셔티브’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는 것이 최 회장 생각이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