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필선 기자] 고스트 닥터에 대한 논란과 파문 등이 확산되고 있는가운데 지난 2일에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정문 앞에 이어 8일 국회 정문 앞에서 모인 시민단체들은 고스트 닥터 실명 공개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
8일 국회 정문 앞에서 모인 시민단체들의 '고스트 닥터' 실명 공개 촉구 기자회견 |
이날 시민단체는 집회에서 "어떤 전문의가 연간 4천여 건이나 집도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의협는 이렇다할 답이 없다. "며 "▲무면허 의료행위 해당 여부에 관한 의견요청 ▲무면허 의료행위 의료기관 고발방침 준수 여부 등에 관한 공개질의서를 지난2일 의협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또 보건복지부 국정감사가 열리는 국회의사당 앞에서 공익감시 민권회의(의장 송운학), 국민연대(상임대표 이근철), 기업윤리경영을 위한 시민단체협의회(이하 기윤협, 공동의장 이보영 외), 가칭) 국민생명 안전네트워크(준) 등 시민단체들은 8일 오전 보건복지부 국정감사가 열리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9년 4,016건 ▲2020년 3,633건 ▲2021년 3,486건 ▲2022년 3,123건 ▲2023년 2,940건 등 지난 5년간 17,198건 나 홀로 집도한 특정 A 의사와 수술병원 공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단체들은 "A 의사가 1년간 혼자서 4,000여 건 인공관절 치환술 등을 집도한 2019년을 살펴보면, 365일 중 토요일(52일)과 일요일(총 52일), 설과 추석 등 공휴일(총 13일) 등을 제외하면 업무일은 248일이다.
또 하루 평균을 계산해 보면 최소 16건의 수술을 진행한 셈이다. 만약 일요일은 쉬고 전부 일했다고 가정하더라도 하루 13건의 수술을 진행한 꼴로 사실상 대리수술과 유령수술 등을 집도한 것이라는 아주 강력한 의혹을 제기하고 ‘국민 알 권리’ 차원에서 수술병원과 수술의사 실명 공개를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들 단체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호를 위해 무면허 의료행위 및 유령수술(일명 고스트닥터) 등을 근절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적절한 조처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강조하고 "수술병원과 수술의사 실명 공개가 재발 방지 차원의 조치라"고 주장했다.
한편 공익감시민권회의 송운학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연간 4천 여건 이상 수술을 했다는 그 의사가 실존 인물인지 유령 인물 인지를 성명을 공개해야 하며 심지어는 어제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Y병원이라고 밝혔는데 그 Y병원에 대한 실제 병원 명을 밝힐 것”을 촉구하며 “Y병원이니 A 모 검사니 A 모 의사니 이런 방식의 발언은 하지 말고 그 의사의 이름 그리고 그 병원의 실명을 즉각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