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범부처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 발표

이지희 / 기사승인 : 2024-07-16 17:36:28
  • -
  • +
  • 인쇄

[하비엔뉴스 = 이지희 기자] 정부가 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공공부문에 도입하기 위한 발판 마련에 적극 나섰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기획재정부 등 정부위원과 민간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제6차 전체회의를 열고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과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 고도화 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이날 위원회 소속 디지털 트윈 TF와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심화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범부처 디지털 트윈 코리아 전략’을 발표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가상공간에 동일하게 반영해 3차원 모델로 구현한 뒤 현실과 동기화하고 분석해 실제 세계의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위원회는 우선 디지털 트윈 코리아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트윈 데이터 연계 활용을 위한 표준을 마련하고, ‘자율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등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반을 조성한다.

또 안전·도시·교통·에너지 등 주요 분야의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발굴·고도화하고, 도시·농어촌 특정 구역을 연계해 디지털 트윈 시범 구역을 조성한다. 이외 트윈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기술(데이터·시뮬레이션·가시화) 등 고단계 기술을 선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행안부는 이와 별도로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 고도화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CCTV 통합관제센터 설치·운영 근거를 명확히 하고, 영상정보를 재난안전 상황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기적 협조체계를 마련하는 등 법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또 ‘저화질 CCTV(200만 화소 미만)’ 교체와 공원.산책로 등 관제 사각지대에 CCTV를 확충하는 등 기술적 인프라도 보강된다.

특히 민관이 협력해 밀집·폭우·도심화재 등 6개 기본 탐지모델과 생성형 AI 모델 등을 활용한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을 실증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안내서(과기정통부)’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개인정보위) 등을 참고해 현장 영상정보 기반의 지능형 학습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오늘 논의된 안건들을 포함해 AI·데이터 기반 디지털플랫폼정부 완성을 조속히 추진해 국민이 ‘가장 선진적인 정부’를 체감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